직장인 37.7%, ‘정’주는 기업문화 이상형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02-19 21:38:06 댓글 0
직장인 3명중 1명, ‘독재식 기업문화’ 최악
▲ 직장인 선호 기업문화 BEST5(사진제공: 알바천국)

대다수의 직장인들이 독재식 절대복종 문화를 거부, 자유를 존중하며 따뜻함을 공유하는 기업문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잡서치’가 직장인 6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 선호문화’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들은 자유롭고 친근한 ‘가족 같은 문화’(37.7%)를 가장 선호했으며, 반대로 대표자 중심의 독불장군식 ‘독재정권 문화’(27.2%)를 가장 꺼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직장인들은 선호하는 기업문화를 묻는 질문에 10명 중 4명(37.7%)이 ‘가족 같은 문화’를 선택, 편안하면서도 따뜻한 정이 있는 기업문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직원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직원 우선형 문화’(26.6%), 대표자 중심으로 사고 젊은 ‘창의·도전적 문화’(13.8%), 규정 하에 체계가 잘 잡힌 △‘매뉴얼형 문화’(13.2%), 봉사활동 등의 선행을 많이 하는 ‘나눔의 문화’(8.7%)순으로 선호하는 기업문화를 꼽았다.


특히 직급에 따라서는 관리자급이 ‘가족 같은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48.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나눔의 문화’역시 관리자급(20.9%)이 대리급(6.9%)이나 과장급(6.7%)대비 약 3배이상의 높은 응답률 보이며 강한 선호도를 드러냈다.


반면 실무를 가장 많이 보는 대리급(19%)이나 과장급(17.8%)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업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직원들의 목소리를 잘 듣고 의견을 수렴하는 ‘직원 우선형 문화’는 직급이 낮을수록 선호, 사원급(29%)의 응답률이 관리자급(16.3%)대비 약 2배가량 높았다.또한 남성 직장인(41.9%)이 여성 직장인(34.1%) 보다 ‘가족 같은 문화’를 더 선호 했으며, 여성 직장인(30.9%)은 남성 직장인(21.6%)대비 ‘직원 우선형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더 강했다.


근무 업종에 따라서도 선호 문화에 차이, 업종별 특색이 묻어났다. ‘의료·제약·복지’(48.8%)와, ‘판매 유통’(43.2%)업종은 가족 같은 문화를 더 선호했으며, ‘미디어·디자인’(27.3%)은 창의·도전적 문화를, ‘은행·금융업’(28.6%)은 매뉴얼형 문화를, ‘교육업’(15.2%)은 나눔의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타 업종대비 높게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선호하지 않는 기업문화’를 묻는 질문에 직장인 27.2%가 대표자 중심의 독불장군식 ‘독재정권 문화’를 응답, 수직적 기업문화에 대한 반감이 컸다. 이어 잦은 야근과 회식이 고질화된 ‘밤샘문화’(23.9%)와 위계질서가 엄격하고 보수적인 ‘군대식문화’(23.6%)가 유사한 수치로 뒤따랐다. 그 외 직원들끼리 교류가 전혀 없고 적막한 ‘독서실 문화’(16.5%)와 지나치게 자유롭고 체계가 잡히지 않은 ‘무정부상태 문화’(8.9%)순으로 이어졌다.


직급별로 보면 젊은 세대인 대리급은 야근과 회식이 잦은 ‘밤샘문화’(31%)를 가장 비선호하는 문화로 선택, 늦게까지 회사일로인해 개인생활이 없어지는 환경을 가장 꺼려했다. 과장급은 ‘독재정권문화’(37.8%)에 대한 반감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관리자급은 ‘무정부상태 문화’(11.6%)를 꺼려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남자직장인(27.6%)은 여자직장인(20.1%)보다 ‘군대식문화’를 더 꺼려했으며, 여자직장인(28.9%)은 야근과 회식이 고질화된 ‘밤샘문화’를 가장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에게 실제 근무하는 기업의 문화 유형에 대해 물어본 결과 자유롭고 친근한 ‘가족 같은 문화’가 28.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규정하에 체계가 잘 잡힌 ‘매뉴얼형 문화’(14.2%)와 대표자 중심의 독불장군식 ‘독재정권 문화’(10.6%)가 베스트 3안에 올랐다.


그 외 ‘직원 우선형 문화’(7.9%), ‘군대식 문화’(7.8%), ‘창의·도전적 문화’(7.8%)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실제 기업문화 유형 속 업종별 특색을 엿볼 수 있어 눈길을 끌었다. ‘기관·협회’(35%)와 ‘은행·금융업’(33.3%)업종은 ‘매뉴얼형 문화’가, ‘의료·제약·복지’(17.9%)와 ‘제조·화학’(17.7%)업종은 ‘독재정권 문화’가, ‘건설업’(34.9%)과 ‘IT·웹통신’(33.3%)업종은 ‘가족 같은 문화’가, ‘미디어·디자인’ 업종은 ‘창의·도전적 문화’(24.2%)가, ‘교육’업종은 ‘독서실문화’(18.5%)가 다른 업종대비 두드러졌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