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봄철 미세먼지 고농도 상승 대응대책 가동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03-10 21:53:32 댓글 0

서울시가 '봄의 불청객' 황사와 미세먼지에 대한‘봄철 미세먼지 고농도 상승 대응대책’을 발표하고, 5월 말까지 24시간 대응 체제를 가동한다.


이번대책은 봄철 중국 등의 건조기가 지속되고 대기가 정체되면서 고농도 스모그 빈발, 국내 유입 가능성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초미세먼지 위기관리 단계(’14.2 도입)’를 대응력을 다각도로 높여 고농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도로먼지관리시스템’(①전문 측정차량이 실시간 지나가며 도로먼지를 측정하고→②고농도 지역으로 확인되면→③자치구 물청소차량 등이 출동해→④집중 청소하는 체계)을 시범도입(이동측정차량 1대)하고, 특히 고농도 시엔 가동시간을 확대 운영한다.


소각시설, 집단에너지시설 같은 시 산하 배출시설 가동시간도 기존의 평상시 대비 80% 감축→70%까지 확대하고, 시 행정차량에 시행했던 운행 제한도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자체까지 확대되도록 협조 요청 할 계획이다.정보제공도 강화해 시민들에게 대기정보와 시민행동요령을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히 알린다.


(초)미세먼지 ‘나쁨’ 이상 단계에서의 문자 발송(현재 2만3천명 수신)시간을 시민 활동시간을 고려해 07시→06시로 조정했다.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의 ‘미세먼지 예보제’도 환경부와 연계해 하루 전(24시간)→이틀 전(48시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영어, 중국어 등 6개 국어 서비스를 개시했다.


취약계층 건강보호를 위해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에 황사마스크를 9일부터 자치구를 통해 보급한다. 올해 7만5천매로 늘렸다(‘15년 7만매).


셋째, 대기질 개선은 중앙정부, 국내외 도시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공동대응이 절실한 문제로, 협력 체계도 올해 한층 강화한다.


정부‧수도권 지자체 상설협의체인 ‘수도권 대기환경청‧지자체 정책협의회’ 가 지난 1월 새롭게 발족됐다.


시는 황사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동북아지역 사막화인 만큼 올해 3억 원의 사막화 방지 예산을 처음으로 편성했다. 민간 사업자를 심사를 통해 선정, 보조금을 지원해 실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맑은하늘만들기 시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시민 실천방안 홍보를 강화하고, 교육청과 협력해 유치원‧초등학생 눈높이에 맞는 초미세먼지 대처 행동요령 교육도 추진한다.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서울 전기차 에코랠리 대회’(6월), 차종‧배기량에 따라 부문별로 ‘자동차 연료 누가 아끼나 대회’(10월) 등을 개최하여 시민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 외에도 발생원별 우선순위에 따라 경유차 저공해화, 전기차 보급 활성화 지원 등으로 대기질 개선으로 시민 건강을 보호해 서울시의 ‘15년 초미세먼지 농도는 23㎍/㎥으로 관측 이래 최저 농도를 기록했다. 이는 ’14년 24㎍/㎥ 전년대비 1㎍/㎥ 개선된 수치다.


정흥순 서울시 대기관리과장은 “서울의 대기질은 지속적으로 저감하고 있지만 아직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건조한 봄철 계절 특성상 예상되는 대기질 고농도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조치를 강화하고, 사막화 방지와 동북아도시 등 국내·외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