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강도 5.8에 원전 안전성 우려 목소리 높다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09-13 20:35:17 댓글 0
환경운동연합 “신규 원전 건설 취소하라” 정치권도 “제도 보완 시급”

지진 관측 이래 최대 규모의 지진(진도 5.8)이 지난 12일 원전 밀집지역인 경북 경주 일대에서 발생하자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곧바로 성명을 내고 “지진의 진행경과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서 당장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서 원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은 단순히 원전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말 대신 각 원전의 점검에 들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최근 논문에서는 한반도 최대지진 규모는 7.45±0.04라고 평가했다”고 전하며 “이는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뜻으로, 최소 규모 7~7.5이상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대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의 위험을 늘려서는 안 된다”며 “신규 원전 (건설)을 취소하고 노후 원전을 폐쇄해서 원전을 줄여나가는 것만이 안전에 대비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고리와 월성의 원전들은 괜찮은지 걱정”이라는 글을 올렸다.


월성 원전은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서 불과 27km 떨어져 있다. 또 인근에는 고리핵발전소, 울진 핵발전소 등이 밀집해 있다.


문 전 대표는 다음날인 13일 “경주와 울산, 양산 등 인근주민들은 어젯밤 편안히 잠들지 못했다”며 “아직도 계속되는 여진 때문에 원전이 걱정돼 지금 월성으로 가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글에서는 “원전 안전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기구가 원자력안전위원회인데, 위원 9인중 5인이 8월 4일자로 임기가 만료돼 결원상태”라며 “지진 상황 속에서도 아무 결정을 할 수 없는 공백이 한 달 이상 계속된다는 것은 심각한 시스템 결함이다. 제도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SNS에 경주 지진 관련 기사를 링크하며 “이제 원전 정책 전면재검토 시작할 때”라는 촉구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