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와 관련, 사정당국의 수사에서 일단 벗어난 재계가 이번에는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와 청와대 해명이 엇갈리면서 논란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재계 총수들의 국정조사 증인채택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질 것에 우려하며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21일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등 여야는 최순실 국조특위 증인채택과 관련한 간사단 협의에서 7대 그룹 총수를 증인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재계 인사로는 개별기업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 7명이다. 여기에 허창수 전경련 회장,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도 증인채택 대상으로 포함됐다.
1차 청문회에서는 재계관련 인사에 대한 청문회가 실시되며, 2차 청문회에서는 최순실씨 등을 비롯한 정계 관련 인사들의 청문회가 이어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는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과 조직개편 등에 집중해야 할 연말에 대기업 총수들이 대거 국정조사 증인에 채택되면서 경영차질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앞서 이들 총수들은 지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과 단독 면담과 관련해 검찰에 비공개로 불려가 미르재단 의혹에 대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검찰의 중간수사 결과에서 기업들의 뇌물혐의를 벗은 것은 다행”이라며 “총수들의 실제 국정조사 증인 출두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와 다른 방향으로 특검과 국정조사가 진행되지 않을까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재계 관계자는 “검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한다는 게 기본 원칙”이라며 “실시간 여론동향 등을 체크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증인채택 대상에 포함된 해당 기업들은 국내 대표기업의 총수들이 검찰 조사에 이어 국정조사 증인으로 불려나올 수 있다는 것에 상당한 부담을 갖고 있는 알려졌다. 국정조사 청문회는 모두 TV나 인터넷 생중계를 통해 외부에 공개될 예정이어서 기업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의 대관부서를 중심으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마땅한 묘안을 찾지 못하는 분위기다.
재계 관계자는 “1차 청문회 대상자를 피의자가 아닌 검찰 참고인 조사까지 받은 기업총수들로 결정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총수가 국회 청문회로 불려가는 상황에서 임직원들의 일손이 제대로 잡힐 리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