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전국에 공공임대주택과 공공분양주택 등 공공주택 14만8000가구를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공공주택 공급계획에 대한 권역별 및 사업자별 등 세부계획을 수립·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주거복지로드맵에서 발표한 5년간 100만 가구 공적 주택 공급계획의 후속조치다.
세부계획에 따르면 공공주택 14만8000가구 가운데 공공임대주택은 13만 가구, 공공분양주택은 1만8000가구다.

공공임대주택 가운데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은 7만 가구가 공급된다. 권역별로는 서울 6000가구, 경기 2만9000가구, 인천 4000가구 등 수도권이 3만9000가구다. 지방은 충청권 7000가구, 전라권 4000가구, 경상권 1만8000가구, 강원권 2000가구, 제주권 1000가구 등이다.
매입형 및 임차령 공공임대주택은 6만 가구가 공급된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1만7000가구, 경기 1만3000가구, 인천 5000가구가 공급된다. 지방은 충청권이 5000가구, 전라권 6000가구, 경상권 1만2000가구, 강원권 1000가구, 제주권 1000가구다.
공공분양주택은 기존택지를 활용해 총 1만8000가구가 공급된다. 권역별로는 서울 2000가구, 경기 5000가구, 인천 1000가구 등 수도권에서 8000가구, 지방에서는 충청권 8000가구를 비롯해 전라권 1000가구, 경상권 2000가구가 공급된다.
사업자별로는 LH가 11만1000가구, 서울시(SH 포함)가 1만4000가구 등을 공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공공임대 13만 가구 및 공공분양 1만8000가구 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앞으로 지자체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연말 성과평가를 통해 우수 지자체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제공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