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지자체 가운데 교통복지가 가장 편리한 곳은 서울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가장 열악한 곳을 울산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8대 특별·광역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는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률, 저상버스와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교통약자 관련 사고, 교통복지행정 수준 등 9개 교통복지지표를 토대로 지자체별 교통복지수준을 평가했다.
조사 결과 8대 특별·광역시 중 교통약자들이 이동이 가장 편리한 곳은 서울시로 조사됐다. 서울시의 교통복지수준은 보행환경, 저상버스 보급률, 교통복지 행정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016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반면, 하위권에는 울산시(8위), 세종시(7위), 대전시(6위)가 꼽혔다. 울산시는 여객시설 주변 보행환경 기준적합 설치율, 저상버스 보급률 등에서, 세종시는 특별교통수단 이용률, 교통복지 행정 등에서, 대전시는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고령자·어린이 안전도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인구는 4명 중 1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의 약 28.9%인 1496만명 수준이다. 이는 2016년에 비해 약 25만명 증가한 수치다.
교통약자 유형별로는 고령화 증가추세에 따라 고령자(65세 이상)가 736만명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49.2%)를 차지했다. 이어 어린이, 영유아 동반자, 장애인, 임산부 순이었다.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8대 특별·광역시 평균 78.3%로 조사됐다. 2016년도 결과에 비해 5.2%p 증가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별로는 버스·철도 등 교통수단이 82.0%, 터미널·철도역사 등 여객시설이 74.9%, 보도·육도 등 도로(보행환경)이 78.0%로 각각 조사됐다.
교통수단별 기준적합 설치율은 도시철도(94.2%)가 가장 높았다. 이어 철도(93.3%), 버스(90.7%), 항공기(79.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0년이 넘는 노후 선박이 대부분인 여객선(52.0%)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객시설별 기준적합 설치율은 공공기관의 관리 비율이 높은 도시·광역철도 역사(88.5%)가 가장 높고, 여객선터미널(87.4%)과 철도역사(81.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민간에서 관리하고 있는 여객자동차터미널(59.7%) 및 관리대상 수가 많은 버스정류장(52.6%)은 낮게 나타났다.
전년도 조사 결과와 비교해 봤을 때 여객선(17.6%→52.0%) 및 여객선터미널(71.3%→87.4%)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크게 증가됐다. 항공기(98.7%→79.9%)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객선의 경우 점진적인 시설개선과 함께 2016년 이후 신규선박의 도입에 따른 증가로 판단되며, 여객선터미널은 부산연안여객터미널의 구 부산국제여객터미널로의 이전 및 리모델링 등에 따라 기준적합 설치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는 전년에 비해 휠체어 보관함 설치 여부, 운항정보 제공을 위한 영상설비(모니터) 구비 여부 등으로 평가기준을 구체화함에 따라 해당 시설을 확보하지 못한 저비용항공사를 중심으로 기준적합 설치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여객시설 및 교통수단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교통약자(총 1506명)를 대상으로 이동편의시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이동편의시설에 대한 종합 만족도는 전년 대비 11.6%p 증가한 74.6%로 나타났다.
이동편의시설별로 보면 교통수단에 대한 만족도는 73.3%, 여객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80.0%, 도로(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71.8%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의 경우 도시철도의 만족도(77.0%)가 가장 높았다. 이어 항공기(76.2%), 철도(75.5%), 버스(72.2%) 순이었다. 여객선의 만족도(63.3%)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객시설은 공항터미널의 만족도(83.0%)가 가장 높았다. 이어 도시철도역사(82.6%), 철도역사(82.4%) 순이었다. 여객선터미널의 만족도(68.1%)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교통사업자 등 관련기관에 시정을 요구하고, 개선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며 “항공 등 전년 대비 기준 적합률이 하락한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을 강구하고, 여객자동차터미널에 대해서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인증사업을 통해 시설을 개선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