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오는 2020년 하반기 오차 1m 이내의 초정밀 GPS 서비스가 국내에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본붸서 24~25일까지 양일간 미국 우주미사일사령부(SMC)와 한국형 GPS 정밀위치보정시스템(KASS) 정지궤도위성의 고유한 식별코드(PRN) 획득을 위한 기술협력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한·미 당국 관계자들은 한국형 GPS 정밀위치보정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정지궤도위성의 식별코드 부여를 위한 세부 절차에 합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7월 고유식별코드가 배분되고, 개발중인 한국형 GPS 정밀위치보정시스템(KASS)에 입력돼 보정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컴퓨터, 기준국 등이 2019년 설치되면 시험을 거쳐 2020년 하반기에는 우리나라 전역에 GPS 위치신호가 보정된 정교해진 위치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항공용으로 표준화된 KASS 시스템은 최근 측정된 실제 위치신호가 1m 이내로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작원리는 간단하지만 실제 항공기가 정밀계기착륙할 때 사용돼 수평외에도 수직 위치 정밀도와 신뢰도 측면 등에서 안정성이 보장되도록 설계된다.
국토부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개발되는 만큼 약 2년간의 공개서비스 기간을 거쳐 정밀보완과 비행검사 등 신호의 정확성을 검증한 이후 2022년 하반기 항공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GPS를 이용해 현재 운용중인 위성위치보정시스템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과 유럽이 유일할 정도로 공정이 까다롭다.
국토부는 “KASS는 신호의 유효성(99.999%)을 보증하고, 최근 미국공항에서 위성을 이용한 GPS 위치보정시스템(WAAS)의 실제 측정한 위치정확도 성능을 분석한 결과 평균 약 0.7m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실제 1m 이내의 수평위치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