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에서 출퇴근에만 1시간 36분이 소요돼 전국에서 가장 오래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는 16일 한국교통연구원과 국가교통조사 자료를 이용해 그간의 전국 통행량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통행량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출근에 41.8분, 퇴근에 54.6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시와 인접해 있는 인천과 경기도도 출퇴근 시간이 각각 92.0분, 91.7분으로 모두 90분을 초과했다.
출퇴근 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전남으로 출근에 28.5분, 퇴근에 38분 등 총 66.6분이 걸렸다.

경기도 지역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통행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고양시로 일평균 출근 통행량은 9만7054건(12.40%)으로 집계됐다. 이어 성남시(9만6515건, 12.32%), 부천시(7만8638건, 10.04%), 남양주시(6만3523건, 8.11%) 순이었다.
2106년 기준 전국 통행량은 8705만1000건으로 2010년 7886만8000건에 비해 10.38% 증가했다. 전국 총 통행거리른 12억3900만인·km로 2010년 12억2200만인·km 대비 1.38% 증가했다.
전국의 전체 통행량이 2010년 대비 10.38% 증가한 것에 비해 승용차 통행량은 20.5% 증가한 4572만4000대로 나타났다.
전체 통행량 증가 보다 승용차 통행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1인당 승용차 통행량이 2010년 대비 7.2% 증가하고, 특히, 나홀로 차량 비율이 82.5%로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7대 특별·광역시를 기준으로 서울, 부산, 대구, 인천시는 지속적으로 혼잡구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혼잡구간비율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14년 대비 2016년 서울시의 승용차 등록대수 증가율은 3.7%로 8만7602대 증가했다.인천시는 18만753대가 늘어난 21.2%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경기도는 3년 동안 43만4776대가 늘어나 전국에서 승용차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가교통조사를 통해 전국의 도로에 대한 혼잡정도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교통빅데이터시스템(View-T)를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향후 다양한 교통 빅데이터로 확대·구축해 국민의 이동성과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국가교통조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오는 17일 한국교통연구원과 서울상공회의소에서 ‘빅데이터 시대의 국가교통조사 성과와 도전’이라는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과거 20년 동안의 여객과 화물의 통행행태의 변화와 내비게이션, 모바일통신, 대중교통카드 등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국민 이동성 및 접근성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