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초로 인공수정 방식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반달가슴곰의 새끼가 태어났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전남 구례군 종복원기술원 증식장에 있는 반달가슴곰 어미 2마리(RF-04, CF-38)가 올해 2월에 각각 출산한 새끼 2마리의 유전자를 최근 분석한 결과,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개체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다만 CF-38이 출산한 새끼 1마리는 올해 5월 초 어미가 키우는 과정에서 알 수 없는 원인으로 폐사했다.
반달가슴곰 이니셜은 개체의 원산지 및 성별을 뜻하며, R은 러시아, C는 중국, K는 한국, F는 암컷, M은 수컷을 의미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지난해 7월 증식장에 있는 4마리(RF-04, CF-38, CF-37, RF-109)의 암컷 곰을 대상으로 인공수정을 시행했다. 그 결과 올해 2월 어미곰 2마리가 각각 새끼 1마리씩을 출산했다.

연구진은 인공수정을 받은 암컷 곰들이 증식장내에서 자연교미가 이뤄졌을 수 있기 때문에 태어난 새끼를 포획해 유전자를 분석, 인공증식으로 태어났음을 최종 확인했다.
RF-04에서 태어난 새끼 1마리의 아비곰은 RM-19다. 연구진은 지난해 7월 RM-19에서 정자를 채취해 이번 인공수정에 활용했다.
곰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지연 착상이나 동면과 같은 독특한 번식기작을 갖고 있어 관련 연구소에서 번식생리의 구조를 알아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세계적인 희귀종인 팬더곰의 경우 중국 등 전 세계 과학자들이 수십년 동안 인공수정을 시도하고 있으나 성공률이 25% 미만에 불과하며, 지난 2006년에 최초로 인공수정을 성공했다.
또 미국 신시내티동물원과 스미소니언연구소에서도 각각 북극곰과 말레이곰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인공수정을 시도하고 있으나 새끼를 출산한 사례는 없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그간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 독일 라이프치히연구소 등 해외 전문가와의 교류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반달가슴곰에 최적화된 인공증식 기술 개발을 수행, 3년 만에 반달가슴곰의 인공수정을 성공시켰다.
이번에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새끼 1마리는 8~9월경 증식장 인근의 자연적응훈련장으로 옮겨 야생 적응 훈련을 받은 후 올해 가을에 방사될 예정이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이번 인공수정 성공을 계기로 반달가슴곰 복원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더욱 넓히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