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서 멸종위기 1급 산양, 새끼 출산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8-06-14 18:07:11 댓글 0
멸종위기종 보전 및 복원사업의 좋은 모델 제시 사례
▲ 산양 돌산 서식지.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이관돼 관리중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산양 한 쌍이 지난 달 23일 새끼 1마리를 출산했다고 14일 밝혔다.


산양 한 쌍은 2015년 설악산에서 구조된 개체로 2014년에 출생한 암컷 산양은 2016년 4월, 2012년에 출생한 수컷 산양은 지난해 6월에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각각 이관받았다.


국립생태원은 산양이 새로운 환경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산양의 특성을 고려해 사슴생태원에 돌산 등 원래 서식지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했다.


산양의 행동연구 모니터링을 위해 무인센서 카메라를 설치해 분석하던 중 지난해 10월 중순 산양의 교미를 확인했다.


▲ 어미 산양이 젖먹이는 모습.

이후 올해 5월 23일 암컷 산양이 새끼 1마리를 낳았다. 새끼는 수컷으로 건강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생태원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협업해 멸종위기종인 산양의 출산을 유도한 것은 종 보전 측면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자연적응에 실패하거나 구조된 개체는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기가 어렵다. 이번 두 기관의 기능적 역할 분담은 멸종위기종의 성공적인 복원을 추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례다. 향후 다양한 협업 체계를 만드는 데 하나의 좋은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생태원은 향후 산양의 개체수가 늘어나면 국립공원 내에서 새끼 산양들의 자연 적응훈련을 거친 후 자연으로 다시 방사할 계획이다.


산양은 보통 10~11월에 짝짓기를 하고 210~220일 동안의 임신기간을 거쳐 6~8월에 출산한다. 갓 태어난 새끼 몸무게는 약 2kg정도이다.


이배근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은 “이번 산양 출산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한 결과로 관람객에게 큰 즐거움과 산양 복원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며,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함께 협업으로 좋은 결과를 얻은 이번 사례가 향후 다른 복원사업의 귀감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