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장마철 집중호우 및 태풍 등에 대비해 이달 18일부터 30일까지를 ‘비점오염원 관리주간’으로 지정, 비점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홍보활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관리주간에는 비점오염물질 줄이기에 관한 라디오 캠페인, 인형극 및 구연동화 공연, 지역 마을주민 등이 참여하는 하천변 정화활동, 간담회 개최, 지자체별 도로 청소 등 다양한 홍보활동이 펼쳐진다.
또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등 시민단체와 함께 농촌·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생활속 비점오염물질 저감방법 등의 정보를 게재한다.
장마기간 중 비가 많이 내리는 우리나라 계절 특성상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천 수질오염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여름철 녹조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2015년 기준으로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등 전국 수계에 유입되는 총인(T-P)의 60%가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된다.
그간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을 줄이기 위해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2004년), 제2차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관계부처 합동, 2012~2020년) 수립 등을 통해 비점오염원 관리기반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올해에는 ‘비점오염원 관리주간’에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소통형 홍보로 범국민적인 비점오염 줄이기 동참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역점을 둔다.
또 비점오염원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관계 공무원 및 기업, 학계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비점오염원관리 워크숍(6월 28~29일, 제주)을 통해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보교류·홍보‧교육 등을 강화한다.
송형근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장마·태풍 등 집중호우 시에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비점오염을 정부만의 힘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번 ‘비점오염원 관리주간’을 통해 민·관이 함께 협치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등 비점오염원 줄이기에 대한 국민의 생활속 실천이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