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에서는 처음으로 경기도 화성에 드론 시범공역이 지정된다.
국토교통부는 혁신성장 선도사업인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시범공역을 경기 화성에 수도권 최초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는 3차 시범사업에 경기 화성을 비롯해 전남 광양, 제주 서귀포 등 3곳을 추가했다. 이로써 강원 영월, 경남 고성, 충북 보은, 전남 고흥, 전북 전주, 대구 달성, 부산 영도 등 기존 전국 7곳에 운영중인 드론 시범공역은 총 10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드론 시범사업은 고도 제한이나 비가시권 비행제한과 같은 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기술개발이나 드론 비즈니스모델 실증을 할 수 있는 사업이다.
10곳으로 확대된 시범공역에서는 3차 시범사업을 위해 올 상반기 사업자 모집공고 등을 거쳐 10개 대표사업자(21개 업체·기관)을 선정하고, 다양한 시험·실증이 지원된다.
이번 3차 시범사업에서는 관제시스템⋅플랫폼 개발, 수소 연료전지의 안전성 실험 등 기술개발에서 동⋅식물 식생파악, 드론 레이싱 대회, 혹서⋅혹한기에 시설물 점검 등 다양한 활용모델을 실증할 계획이다.
그간 1차 시범사업은 총 15개 대표사업자(31개 업체·기관 컨소시엄)이 참여해 수요기관과 공급업체 간에 드론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주요 성과가 있었다.
2차 시범사업은 1차 대표사업자에서 10개 대표사업자를 추가 선정한 25개 대표사업자(59개 업체·기관)가 비행안전성, 자동비행 및 이착륙 정확도 등 각종 기술개발을 지원했다.
특히,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기준을 마련햐 제도적으로 ‘특별비행승인제’를 도입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번 3차 시범사업을 통해서도 제도개선 사항이 발굴·개선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부문의 수요창출과 함께 민간분야에 지속적인 시범사업을 통해 제작시장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활용시장의 드론 비즈니스 모델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범사업에 선정된 사업자 외의 사업자에게도 시범공역을 개방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며 “론산업 성장세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