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인천 등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데 이어 울산과 의령 등 전국 일부 지역에까지 '수돗물 공포'가 확산되자 당국이 총력 대응에 나섰다.
환경부는 최근 인천 지역 수돗물 유충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된 전국 정수장 49개소에 대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긴급점검을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점검 결과 인천 공촌·부평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되고, 인천 공촌, 인천 부평 등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됐다.
환경부는 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정수장 후단 배수지·수용가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고, 유충 발견 이후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오존 주입율 상향 등의 조치를 취하는 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또한 문제가 지적된 정수장은 오는 23일까지 보완조치를 완료하도록 조치했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8일 인천 수돗물 유충의 발생 원인을 정수장 내 활성탄지에서 부화된 유충이 걸러지지 않고 정수장,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공급된 것으로 유전자 분석결과를 통해 밝혀낸 바 있다.
환경부는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 추가 발생은 차단됐지만, 아직까지 급·배수 관로상에 남아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덧붙여, 전국 일반 정수처리장 435개소 역시 17일부터 긴급 전수조사를 개시했으며, 금주중 완료하여 정수장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한편, 20일까지 인천 외 타 지역(서울, 부산, 화성, 파주 등)에서도 수돗물에서 벌레 유충이 발견되었다는 민원 총 19건이 언론에 보도되어 지자체와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 조사한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며,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부산의 경우 모기·파리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조사 결과 하수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화성, 파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정수장·배수지·저수조 등에서는 유충이 발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바 배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21일 환경부장관 주재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영상회의를 개최하여 정수시설·배수지·저수조 등의 철저 관리를 지시하는 등 수돗물 안전관리를 최우선으로 시행할 것을 당부할 계획이다.
앞서 조명래 환경부장관은 지난 20일 인천 공촌과 부평정수장, 천마산 배수지 등 유충이 발견된 현장을 방문하여 명확한 원인 규명과 신속한 사고 대응 및 재발방지를 지시하고, 현장수습지원반을 찾아 활동사항을 점검하고 인천 수돗물의 정상화를 위해 차질없이 지원하도록 당부한 바 있다.
환경부는 전국 수돗물 유충민원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고 조치사항 등을 신속 점검하기 위해 환경부 내에 수돗물 유충대응 상황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민의 수돗물 불신을 해소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번 수돗물 사태의 확산 방지 및 정상화에 정부 차원의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