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22일 오전 서울 중국 프레스센터에서 제16차 일자리위원회를 개최하고,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 일자리대책 추진방향',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의결했다.
이날 일자리위원회에는 일자리위원회 김용기 부위원장과 관련부처 당연직 위원 15명, 박용만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등 위촉직 위원 13명이 참석했다.
이날 일자리위원회에서의 주요 안건은 코로나19 시대에 대응해 해양수산, 환경 등 각 분야에서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 중점을 뒀다.
'해양수산' 부문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스마트항만 도입 등 해양수산분야의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 방안을 다뤘고, '환경분야'에서는사회적경제기업 진출을 확대하고 전 단계별 육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일자리위원회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양수산업의 고용불안이 증대됨에 따라, 중장기적 일자리 창출 추진방향을 마련하여 2022년까지 일자리 약 12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유동성 부족으로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기업에 지난 5월에 마련했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통해 추가 금융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청·장년층 중심의 귀어·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법·제도를 개선해 어촌정착을 지원하고, 어선원·어업인의 안전보험·재해보험 가입을 확대한다.
어촌재생 확산을 위해 어촌뉴딜 300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SOC 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한다.
무역-물류의 디지털화,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스마트항만을 도입하고, 한국형 스마트양식 혁신기술 개발*을 통해 연관산업의 청년층 진입 등을 유도할 계획이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건립해 스타트업 등의 물류비 절감을 돕고, 청년·스타트업 및 영세 어업인 등의 비대면 거래를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관공선 연내 9척 건조를 시작으로 총 114척(34척 건조, 80척 개조)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 도입해 2025년까지 약 5천2백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갯벌복원사업 확해를 통해 2022년까지 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 30% 저감한다.
해양바이오, 수중건설로봇, 해양드론, 해양심층수 등 해양신산업을 육성하고, 해양 및 수산 모태펀드를 통해 벤처기업 창업을 유도하는 등 고용 창출의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업사이클(고부가가치 자원재활용 사업) 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고 자생식물을 활용한 상업화 기반을 본격 마련하고, 온라인 인증취득·판로지원 등도 강화한다.
마을기업 등이 폐기물처리시설 폐열 등을 활용하여 지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상생발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발굴·확산할 계획이다.
다회용 박스 배송, 다회용기 회수·세척·재공급 및 중고물품 교환·수리 판매 등 재사용 분야에 사회적경제기업을 전문적으로 육성하여 1회용품 저감과 자원순환을 촉진하기로 했다.
지역 생태·문화자원과 연계한 생태관광 및 국립공원 친환경도시락 제공 서비스 사업에 사회적경제기업이 참여하는 우수모델을 발굴·확산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환경교육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일자리위원회 김용기 부위원장은 "디지털·그린뉴딜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자극하며 경제·산업구조의 재편을 촉진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물결을 유연하게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고용 및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져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