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애플과 '탄소배출 제로' 동참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7-22 13:33:02 댓글 0
글로벌 협력업체 17개국 71개 참여
▲ 사진=로이터/연합(로고 합성)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가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0)를 실현하는 데 동참한다.

SK하이닉스는 애플이 현지시간 21일 17개국 71개 기업들과 함께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0)를 선언했다고 22일 밝혔다.

애플은 이날 '환경적 진전 보고서'를 발표하고 2030년까지 자사 제품과 전 세계 공급망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천명했다.

탄소 중립이란 배출한 양만큼의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SK하이닉스는 애플에 청정에너지로 생산한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새로 탄소 중립 서약에 참여한 SK하이닉스는 이날 애플이 공개한 71개 글로벌 협력업체 중 한 곳에 포함됐다.

'탄소배출 0'에 동참하는 71개 기업에는 SK하이닉스 외에 대만의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 아이폰 조립 업체 폭스콘(홍하이정밀공업), 소니 반도체 솔루션, 3M 등이 있다.

미국의 주요 외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애플은 이 프로젝트에 따라 2030년까지 아이폰·아이패드·맥·에어팟 등 모든 판매 기기의 탄소 배출량을 75% 감축하고 나머지 25%에 관해서는 탄소 제거 솔루션을 개발하게 된다.

애플은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 애플워치 등의 제품에서도 일부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 제조했다.

외신은 애플 제품의 제조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을 주목, 이번 프로젝트에 따라 협력업체들이 부품·제품을 생산하는 데 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기를 이용하는 등의 개선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이 새로운 혁신적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오래 가는 경제 성장의 시대에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 금융전문가는 애플의 이번 탄소중립 0 선언으로 중국 제조업체들은 애플의 환경 운영 전략에 맞춰 새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다른 정보기술(IT) 공룡들도 탄소 감축을 선언한 바 있다.

MS는 올초에 탄소 배출 마이너스(-)를 달성하고 2050년까지는 이 회사가 설립(1975년)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배출한 탄소를 모두 제거하겠다고 발표했다.

제프 베이조스 CEO는 올해 2월 기후 변화 대응에 사재 100억달러(약 12조원)를 내놓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아마존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전기 배달 트럭 10만대를 투입할 예정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