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친환경 모빌리티 보급 박차...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보급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7-22 16:04:41 댓글 0
수소차 20만대, 전기충전기 4만5천기, 수소충전소 450기 구축
20조3천억원 투입, 일자리 15만개 창출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일환으로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의 보급에 발벗고 나섰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2일 그린뉴딜 주관부처로서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해 재정투자와 제도 개선에 나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해 과감한 재정투자로 자동차 산업구조의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이 전 세계 미래차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환경부의 이번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프로젝트는 크게 3대 과제로, ▲전기차 보급 ▲수소차 보급 ▲노후경유차 친환경 전환 등이다.

환경부는 먼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걱정 없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교통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113만대(승용+버스+화물 등 누적)를 보급하고, 충전시설 4만5천기(급속충전 1.5만기, 완속충전 3만기, 누적)를 보급할 계획이다.

보조금 지원시한도 최대 2025년까지 연장하고 전기차 물량을 2025년 19만8천대로 확대하고, 전시·체험 시설을 갖춘 랜드마크형 충전소 4곳을 구축한다.

국산 전기자동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 1천300억원을 투입해 전기자동차의 성능, 부품 개선 등에 대한 기술개발(R&D) 사업을 적극 지원한다.

또한, 신규 공동주택의 충전기 의무대상 범위·설치수량을 확대하고, 급속충전기에만 국한되던 충전 방해행위 과태료 부과기준을 완속충전기로 확대하는 등의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아울러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를 강화해 미래차 수요에 대응하는 공급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수소차는 2025년까지 중·대형 스포츠실용차량(SUV), 중·장거리 버스, 중·대형 화물차 중심으로 20만대를 보급한.

시내버스는 2025년까지 4천 대, 중·대형 화물차는총 645대를 보급하고, 사업용 수소차는 내년부터 수소버스를 시작으로 연료보조금을 지원한다.

수소충전소도 관계부처·지자체·사업자 등과 정책협의회를 통해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하고 공공부지를 확보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안전성 평가제 도입과 첨단장비를 활용한 정밀안전검사 등을 실시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화석연료로부터 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포집하여 활용하는 '블루(Blue) 수소충전소'와 바이오가스, 재생에너지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여 온실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그린(Green) 수소충전소'를 중점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의 제로화'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대기오염의 주범인 노후 경유차 퇴출을 위해, 액화석유가스 전환, 매연저감장치 부착, 조기폐차 등 친환경 전환을 추진한다.

노후 경유차 116만대는 내년부터 2024년까지 조기폐차 보조금을 지급하고, 31만5천대에 대해 매연저감장치(DPF) 부착을 유도한다.

생계형 차량인 1톤 트럭 13만5천대와 어린이 통학차량 8만8천대에 대해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전환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이번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 사업에 총 총 20조3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약 15만1천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적극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와 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계·지자체 등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전환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