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4대강 보 홍수조절기능 실증분석 돌입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8-12 17:29:30 댓글 0
집중호우 피해 속 4대강 보 논란 가속...민간전문가들과 평가 방안 강구

▲ 부여 백제보(사진=충남도 제공)

 

유례없는 장마로 하천 범람 등의 집중호우 피해가 속출한 가운데 4대강 보의 홍수 조절 기능에 대한 논란까지 가세하자 정부가 실증분석에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는 12일 설명회를 갖고 4대강 보의 홍수 조절 기능에 관련해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실증적 평가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날 설명회에서 "실증분석에서는 이번 홍수 때 보의 운영 결과 및 상·하류 수위측정자료 등 현장 관측 자료를 분석해 실제 홍수 상황에서 보의 영향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홍수 때 각 댐의 유량 및 수위 관측이 실시간으로 이뤄졌고, 과거 데이터도 다 있으니 보가 있을 때와 없을 때를 비교해 홍수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평가할 예정"이라며 "보를 제외한 제방이나 다른 시설물들은 홍수 조절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고, 유역마다 평가하는 방법도 다르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로 인해 실증 분석을 통한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하고 과거 분석 자료 이상으로 4대강 보의 홍수조절기능에 대해 언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4대강 사업을 하지 않아 섬진강 유역 등이 홍수 피해가 줄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 환경부는"4대강 사업에서 빠진 섬진강 유역의 홍수 피해가 컸던 것은 하천 계획빈도 이상으로 비가 내렸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번 집중호우로 전국적인 피해가 발생하자 여야와 시민단체는 4대강 보의 홍수 조절 기능을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4대강 보가 홍수 조절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실증·분석할 기회"라며 "50일이 넘는 최장기간 장마와 폭우로 발생한 전국적 피해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