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세계최초로 친환경 '흑연 쾌삭강' 개발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8-13 15:13:11 댓글 0

 

 

▲ 친환경 흑연 쾌삭강 기계 부품. (사진=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친환경 '흑연 쾌삭강(PosGRAM)'의 양산제품 개발에 성공하고 판매확대에 본격 나선다.

포스코가 13일 이같은 소식을 밝히고, "흑연 쾌삭강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납 쾌삭강을 대체할 수 있어 국가 산업 경쟁력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소개했다.

쾌삭강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철강재 제품의 하나로 절삭면이 깨끗하고 빠르게 잘리는 부품 재료다. 복잡한 형상이나 치수 정밀도가 중요한 자동차, 전기·전자 및 사무자동화 기기의 정밀 부품 제작에 사용된다.

포스코는 기존 쾌삭강의 경우 절삭성 향상을 위해 납을 첨가해 생산, 가공, 재활용 처리 과정에서 공기중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입자가 퍼져나가 작업자에게 염증이나 신경계 손상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EU의 '유해물질 사용제한(RoHS)' 지침에는 납 함유량을 최대 0.1%로 제한하고 있지만 납 쾌삭강은 데체 소재가 없어 별도로 최대 0.35%까지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납이 함유된 부품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가 확대됨 따라 향후 납 사용을 규제하는 지침 역시 강화될 전망이다.

포스코가 개발한 이번 흑연 쾌삭강은 친환경 소재인 흑연을 활용해 납 쾌삭강 이상의 우수한 절삭성을 확보했다.

열처리를 통해 구현한 균질한 조직은 어느 방향으로 절삭을 하든 균일한 절삭성을 나타내 가공 효율이 한층 더 높아질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지난 2017년 흑연 입자의 분포 및 제어 기술의 개발을 시작으로 쾌삭강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엔 생산 라인에서 양산 제조기준을 정립하며 개발을 완료했다.

올해 초에는 전사 차원에서 테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제품의 시장 내 조기 정착을 위해 연구·판매·생산에 매진해 지난 6월 소비자들의 평가에 따라 품질의 우수성을 확인하고판매에 돌입했다.

쾌삭강 시장은 세계적으로 연간 100만톤 규모에 이르지만 납을 함유한 제품의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

특히 국내에는 납 쾌삭강을 생산하는 업체가 없어 연간 2만3천여톤을 일본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포스코는 이번 흑연 쾌삭강 생산으로 수입에 의존하던 쾌삭강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