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크게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상공인연합회의 7일 조사결과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매출액이 90% 이상 줄었다는 응답이 60%였고,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이라는 응답은96.4%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도·소매업, 외식업, 개인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전국 일반 소상공인 3천4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조사했다.
사업장의 월간 피해액을 추정액 조사에서는 '500만∼1천만원'이 31.3%였고, '100만∼500만원'이 24.5%, '1천만원 이상'은 19.2%였다.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경영비용 중 가장 부담이 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9.9%가 '임대료'라고 답했다.
사업장 전망에 대한 질문에는 '사업을 유지하고 있으나, 폐업을 고려할 것 같다'는 응답이 50.6%로 절반을 넘었고, '폐업상태일 것 같다'고 답한 소상공인은 22.2%였다.
최근 부상하는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 격상'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59.2%가 '필요하긴 하나, 소상공인 대책 방안이 수립된 이후 실시해야 한다'고 답했고, 3단계 격상하게 된다면 '매우 심각한 위기'라는 대답이 90.7%로 나왔다.
한편, 정부가 논의 중인 2차 재난지원금 논의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대답이 96.1%, 이중 지급 대상에 대해서는 '선별적 지급'(68.5%)이 '전 국민 지급'(29.7%)를 크게 웃돌았다.
코로나19 관련 공과금 감면 정책으로 '지방세 및 국세 감면'이 46.1%로 나왔고, 전기료 감면'이 45.6%로 뒤를 이었다.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 정책에서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에는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 실시'(35.4%), '별도의 소상공인 재난 수당 지원'(26.1%), '임대료 지원'(22.3%) 순이었다.
소공연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한 지난달 15일 이후 전국적 2단계 및 수도권 2.5단계 격상으로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