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절반 이상은 가격 담합 의심 부동산 SNS, 인터넷 카페 폐쇄 및 운영자 처벌이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단속하는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18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가격 담합 의심 부동산 온라인 활동 처리 방향 공감도를 조사한 결과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단속하는 적절한 조치'라는 응답이 55.1%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의견 개진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로 부적절한 조치이다'라는 응답이 26.5%,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18.3%였다.

가격 담합 의심 부동산 온라인 활동에 대해 모든 권역에서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이므로 단속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전라(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단속 64.7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22.5%)에서는 10명 중 6명 이상은 단속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대전·세종·충청(57.1% vs 31.5%)과 인천·경기(56.2% vs 24.2%), 대구·경북(56.1% vs 24.5%), 서울(55.8% vs 24.1%), 부산·울산·경남(51.9% vs 28.5%) 거주자 절반 이상은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하는 적절한 조치이다'라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도 단속이 적절한 조치라는 응답이 많았다. 특히 30대(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 65.8%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26.2%)와 40대(61.2% vs 29.6%)에서 '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단속' 응답이 60%대로 집계됐다. 이어 50대(56.9% vs 26.6%)와 60대(52.7% vs 29.2%)에서도 절반 이상은 적절한 조치라고 응답했다. 반면, 20대와 70세 이상에서는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성향자(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 77.4%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13.1%)와 중도성향자(50.2% vs 32.5%)는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이라는 응답이 많지만, 보수성향자는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 39.4%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44.2%로 두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단속' 82.0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8.9%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단속' 29.9 vs '의견 개진 자유 침해' 48.0%로 결과가 대비됐다. 반면, 무당층에서는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41.0%로 평균 대비 많았다.
이번 조사는 18일 전국 18세 이상 9683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 5.2%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무선(80%)·유선(20%)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