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인해 아이오닉6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한 유선형의 디자인과 최저 공력계수(CD 0.21)를 달성하며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에 이어 최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인 1회 충전시 최대 524km의 주행가능거리를 달성했다. 2WD 롱레인지 18인치 기준이라고 현대차 측은 밝혔다.


현대차의 베스트셀링 모델인 아반떼, 그랜저, 싼타페, 팰리세이드 등의 모델은 전시되지 않았다.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인근 전시장을 찾아도 되지만 모터쇼에 와서 기존 모델을 확인하는 기회를 뺏긴 기분이다”, “전기차가 대세라고 전기차 홍보에만 열을 올리는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현대차는 이번 부산모터쇼만이 아닌 지난 2021년 서울모터쇼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부스를 운영했다. 중요한 모델 일부만 전시하고 나머지는 모터쇼 인근 고양 현대모터스튜디오를 안내했다.

이는 현대차도 울며 겨자먹기로 국내 모터쇼를 참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반증이 아닐까. 모터쇼의 대표 주관사가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고 협회의 회원사는 국산차 메이커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남은 국산차 메이커는 현대기아차다.

현대기아차 외 참여사인 BMW, 롤스로이스, SKT와 같은 곳은 들러리가 된 상황에 불만이다. 참가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가뜩이나 관람객 참여가 저조한 행사인데,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부산모터쇼 이야기에는 현대기아차, 아이오닉6 언급이 대부분이다”면서, 매우 아쉬움을 토로했다.
한편, 이번 부산국제모터쇼는 동네 잔치라는 오명을 벗기위해, B2B 바이어들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의 시도도 꾀했다. 2년 후 부산, 아니 1년 후 서울모빌리티쇼 또한 혹평이 아닌 호평 일색인 국내 대표 모터쇼가 되기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ass1010@daily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