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 전기차 1만대 도입 ... 현재 1,304대 도입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2-10-25 00:08:17 댓글 0
“5년간 집배원 사망9‧중상141‧경상1,429, 초소형전기차 도입 확대 필요”... 1만대 도입 믿고 2000억 투자한 생산업체들 막대한 피해 발생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충남 천안을) 의원이 24일  열린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우정사업본부가 집배원 이륜차 사고 피해 감소를 위한 초소형전기차 도입 문제에 대해 지적했다고 밝혔다.

2018년 우정사업본부는 ‘집배물류 혁신전략’10대 추진과제로 집배원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초소형전기차 1만대를 ▲2018년 1,000대 ▲2019년 4,000대 ▲2020년 5,000대 단계적으로 도입 및 사업설명회 등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발표했다.

하지만 2018년 단기간 대규모 도입시 국내생산 여력과 외국산 전기차 완성차의 대량유입으로 전기차 보조금이 해외 유출 우려 등의 국정감사 지적으로

시범운영 후 성과분석을 통해 도입규모 결정하기로 사업계획을 조정하여 2019년 994대, 2021년 310대 총 1,304대를 도입하여 현재 운행중이다.

 
박완주 의원은 “최근 5년간 집배원 이륜차 사고는 사망 9명, 중상 141명, 경상 1,429명으로 모두 1,579명의 심각한 인명피해 사고가 발생 했다”며 “초소형전기차 32개월 간 운행 결과 대부분 출차나 주차 시 상대방 차량 등과 접촉한 경미한 사고들로 이륜차 보다 안전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의원은 “초소형전기차는 5년 임차 계약으로 수리비, 보험료 등 유지관리 비용이 임차료(월 30만원 이내)에 모두 포함되지만 이륜차는 유지관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며“최근 5년간 우정사업본부는 이륜차 유지관리 비용으로만 406억 원이 소요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초소형전기차는 250kg으로 집배원의 1일 업무물량을 적재한 상태로 주행가능 하나, 이륜차는 60kg 이내로 1일 업무물량을 적재하기에는 어려워 효율성에 대해서도 비교 했다.

그뿐만 아니라 2018년 우정사업본부의 초소형전기차 1만대 도입 발표 후 “국내 생산업체들은 공장 설립 및 차량개발 비용으로 2,135억 원의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으나 초소형전기차 도입 부진으로 인해 생산업체들의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박완주 의원은 “매년 발생하는 집배원 이륜차 고질적인 인명피해 사고 문제와 환경적인 문제, 생산업체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소형전기차 도입을 단계적으로 확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ass1010@dailyt.co.kr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