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 민영화된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지분 8.5%를 보유한 국민연금이다. 이 지분을 바탕으로 최고경영자 선임에 정부의 입김이 작용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최정우 회장 이전 포스코 수장 8명 가운데 연임 임기를 모두 마치고 퇴임한 인물은 한 명도 없었다. 이는 정권이 바뀌면서 임기도 끝났다는 의미다.
최 회장은 지난해 연임에 성공했으며, 임기 만료는 오는 2024년 3월이다. 최 회장은 지난 4년 동안 핵심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핵심사업을 구조조정해 재무 건전성을 개선했다.
포스코는 물론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케미칼 등도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최 회장의 행보에 비상등이 켜진 것은 지난 9월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가 침수되면서 발생했다.
49년 만에 공장이 멈추며 3분기 포스코홀딩스의 경영실적도 악화됐다. 올 3분기 포스코 영업이익은 9195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1167억원) 대비 70.5% 감소했다. 또한 지난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최 회장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거센 질타를 받았다.
정치권과 가까운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최 회장의 자진 퇴진을 내심 바랬던 여권은 힌남노가 핑계거리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 취임이후 포스코가 기존의 서울대 라인을 대신해 최 회장 동문인 부산대 출신이 전면에 배치된 것도 여권으로서는 못 마땅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는 “올 연말인사에서 부산대 출신인 정덕균 포스코ICT 대표, 윤양수 포스코스틸리온 대표, 노민용 포스코인터내셔널 부사장 등 물러날 가능성이 많다”며 “이를 연결고리로 해 여권이 최정우 회장의 퇴진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의견을 보였다.
포스코 내부 직원은 “최 회장이 임기를 다 채우려는 의도에서 여권에 구애하는 모습으로까지 비춰질 수 있다”며 “포스코 인사에 간섭하려는 정치권의 행태도 비판받아야 하지만, 회사를 자신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최 회장의 행동도 못마땅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