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요구권 신청률...인터넷전문은행이 시중은행 보다 더 높아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3-03-26 23:51:23 댓글 0
금리인하요구 신청률, 인터넷전문은행(24.96%)이 시중은행(6.33%)보다 약 4배 높아
토스뱅크 1위(34.5%), 시중은행에선 신한이 12.1%로 1위
0.4%(NH농협)~0.1%(우리은행) vs. 0.8%(토스뱅크)~0.4%(카카오뱅크)
▲2022년 시중 5대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등 현황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의원(대전 동구 당협위원장)이 22일 5대 시중은행(하나·KB국민·신한·NH농협·우리) 및 인터넷전문은행(케이뱅크·토스뱅크·카카오뱅크)으로부터 제출받은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전체 신청가능 계좌 약 870만개 중 실제 신청이 이루어진 계좌는 약 55만개로 평균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계좌비율은 6.33%에 불과하였고, 실제 금리가 인하된 계좌는 약 20만개(2.38%)에 불과했다.

특히 NH농협은행은 전체 신청가능 계좌 약 160만개 중 약 2만 5천개(1.56%)에서만 금리인하 신청이 이루어졌으며, 전체 신청가능 계좌 대비 수용률은 NH농협은행 1.01%를 비롯, 5대 시중은행이 평균 2.3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터넷전문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가능 대출계좌 약 570만개 중 실제 신청이 이루어진 계좌는 약 142만, 실제 금리가 낮아진 계좌는 약 27만개로 나타나 신청률 및 수용률이 각각 24.96%, 4.71%로 시중은행(6.33%, 2.38%)보다 각각 4배, 2배 가량 높았다.

또한 금리 인하 폭을 살펴보면, 시중은행은 0.13%(우리은행)~0.42%(NH농협은행)에 분포하고 있으나 인터넷전문은행은 0.38%(카카오뱅크)~0.76%(토스뱅크)에 분포되어 시중은행보다 금리 인하 폭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의원은“금리인하요구권은 법률로 보장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권리”라고 평가하며 “시중은행들도 인터넷뱅크를 벤치마킹해 신청절차는 더 편하게 개편하고 고객의 입장에서 한번 더 생각함으로써 금리인하 수용률은 높이고 인하폭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