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승재 의원은 지난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사회공헌이 기업 이미지 세탁을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되며, 사회공헌을 위장한 기업 이미지 세탁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독과점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2022년 예대마진으로 약 37조 원을 벌어들인 은행 경영진이 가산금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대출이자를 금융소비자에게 전가시키는 방법 등으로, 막대한 이익을 거둬들이고, 1조 4천억 원이 넘는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고 꼬집었다.
최 승재 의원은 "사회공헌으로 위장해 사회적 비판을 피해 가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2014년 네이버와 카카오(다음)는 검색 지배력 남용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동의의결 처분을 받았지만, 자회사 일감 몰아주기 등으로 논란에 휩쌓인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 의원은 “사회공헌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사회공헌 사업 집행내역에 대한 높은 투명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