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수협, 지자체들은 저마다 자체적으로 검사장비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협중앙회와 전국 지역수협들은 최소 20만원에서 최대 500만원에 달하는 휴대용 방사능 신속 측정 장비를 개별적으로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전국 지역수협 91개 조합 중 휴대용 방사능 장비를 갖춘 지역수협조합이 24개(26.3%)에 불과한데 이는 매출이 높은 ▲고흥(991억) ▲한림(772억) ▲포항(603억) 등 일부 수협만 장비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고흥군 수협의 경우 연간 127,704톤의 수산물이 유통되는데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 1대만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한림수협의 경우 500만원에 달하는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속초시 수협은 저렴한 가격(20만원)의 측정기를 사용하는 등 휴대용 방사능 장비의 성능 또한 각 지역 조합별로 차이가 큰 상황이다.
윤재갑의원은 “수협 조합 산지위판장의 수산물 유통량을 고려할때 단 1개의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만 보유하고 있는 것은 보여주기식 퍼포먼스에 불과하다 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각 수협 조합 산지 위판장에서 수산물에 대한 실질적인 방사능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사능 측정기 구입에 대한 수협중앙회와 정부 차원의 통일된 규정 마련과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