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민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TV홈쇼핑‧데이터홈쇼핑별 운영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TV홈쇼핑 상위3개 사업자의 중소기업상품 판매수수료율은 모두 30%를 넘었다.

특히 △GS리테일(35.5%)이 가장 높았고, △현대홈쇼핑(34.0%), △CJ ENM(33.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정위가 지난해 연말 ‘2023년 대형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발표한 쿠팡의 실질 수수료율 27.5%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데이터홈쇼핑의 경우에는 10개 사업자 중 7개사업자의 중소기업상품 판매수수료율이 30%를 넘었고, △KT알파(35.3%), △신세계라이브쇼핑(35.2%), △SK스토아(34.3%), △더블유(34.0%), △GS리테일(31.5%), △TRN(31.1%), △CJ ENM(30.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TV홈쇼핑 중 3개 사업자(△NS쇼핑, △홈앤쇼핑, △공영홈쇼핑), 데이터홈쇼핑 중 3개 사업자(△SK스토아, △더블유쇼핑, △TRN)까지 총 6개 사업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사업자들은 모두 전체상품 평균 판매수수료율 보다 중소기업상품의 판매수수료율을 더 높게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TV홈쇼핑 전체 방송시간 대비 중소기업상품의 편성시간과 편성횟수, 프라임시간대 편성시간 모두 △GS리테일이 가장 적었고, △현대홈쇼핑, △CJ ENM 순으로 중소기업상품에 대한 방송편성이 미흡했다.

데이터홈쇼핑의 프라임시간대 중소기업상품 편성시간 비중은 △더블유쇼핑이 54.6%로 가장 미흡했고, △GS리테일(59.6%), △현대홈쇼핑(63.0%) 순으로 나타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