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탐지할 스캐너 있어도 식별 불가...‘무용지물’ 드론 탐지 장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수진(국민의힘) 의원이 입수한 한수원의 ‘2023년 물리적방호 전체훈련 결과 보고’에 따르면, 한수원 산하 원전 본부 5곳 중 3곳이 잠재적 테러 위험 요소인 ‘드론’에 대해 탐지 장치(RF 스캐너 탐지 기법)가 아닌 ‘육안’으로 식별하는 등 부실한 훈련을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수원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고도화된 불법 드론 공격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무력 장비를 도입한 대드론 대응체계를 지난해 처음 도입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원전 내 불법 드론 탐지 건수는 총 518건이었다.
그러나 한수원은 훈련 선진화 원년부터 필수 식별 기구인 드론 탐지 장치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 채 훈련을 진행하였다. 앙꼬 없는 찐빵과 같은 훈련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본부별 훈련 현황을 보면, 한울 본부는 탐지 장치 자체를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고리 본부의 경우 탐지 장치를 확보하고 있었으나 드론 4대를 탐지하는 데 모두 실패했다. 한울·새울 본부는 4대 중 1대를 각각 탐지하지 못했다.
탐지 장치가‘허울’에 그친 원인으로는 ▲드론 식별을 위한 데이터(DB) 등록 미흡 ▲드론과 탐지 장치 간 주파수 방해 ▲비훈련용 드론 사용 등으로 꼽힌다. 특히 탐지 장치가 공중에 떠다니는 드론을 탐색해 재밍(수신신호방해)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드론별 DB 구축이 핵심으로 꼽힌다.
이와 달리 한수원은 현실적 한계를 이유로 DB 확보에 안일해왔던 것으로 이번 결과 보고에 나타났다. 훈련 평가를 맡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은 결과 보고서를 통해“RF 스캐너의 탐지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주기적인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반면, 동일 가급 국가보안시설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공항 내 불법드론의 침입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지난 2019년부터 레이더, RF 스캐너, 에어로스코프 드론 탐지 장치 3개와 EO/IR(영상추적장치) 드론 식별 장비 1개를 통해‘3+1’4중 보안을 통한 드론 탐지 장치를 가용하고 있다.

한수원은 2022년 시작으로 3년 간 마일즈(MILES) 훈련을 실시해왔다. 실탄 없이도 비상시 대응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특수 훈련이다. 하지만 한수원은 훈련생을 대상으로 제대로 된 마일즈 장비 교육을 생략한 채 곧바로 훈련에 돌입하였다. 심지어 한수원 소유의 장비도 한 대도 없었다. 일부 훈련 과정에서는 장비 고장으로 인해 작동 되지 않은 마일즈 장비로 훈련에 임하는 사례도 발견됐다. 사실상 훈련의 효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전 감각을 키우지 못하는 훈련 전개도 지적 사항이었다. 국가 중요시설 방호 훈련은 국가비상사태 발생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통합 대응능력이 한층 강화된 특수 모의 작전이다.
하지만 한수원의 경우 적군의 침투 상황을 고려한 가상 시나리오를 사전에 충분히 인지 후 모의 훈련에 참여하고 있었다. 비상시 대응 능력을 키우기에는 훈련 강도가 낮아 긴박한 상황 대처 능력을 제고할 수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불어, 훈련 모니터링 통제관 역할에 대해서도 정교한 역할기능이 부재했다.
최수진 의원은 "최근 불법드론을 비롯해 북한의 오물풍선 등 공중 물체 출연이 갈수록 잦아지면서 방공망 구멍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범정부 차원으로 원전과 같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방어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