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취임하면서 초급 간부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으나, 2025년 정부예산안에 필요 예산이 대부분 누락되면서 이번에 발표한 처우 개선 대책도 실현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하지만 지난 8일 있었던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군 간부 처우개선 문제가 거듭 언급된 가운데, 국방부 자구 노력만으로도 어느 정도 처우개선 대책을 실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예산 불용 사유를 살펴보면 대부분 집행잔액으로, 이는 예산 편성시 적정 인력운영률 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갈수록 병역 자원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불용 규모는 더 커질 것이 예상되므로, 기재부에 증액을 요구하기에 앞서 불용예산을 조정해 당직근무비, 주택수당, 초과근무 등 수당을 현실화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국방부가 제시하는 처우개선 방안은 주로 금전 대책에 집중되고 있으나, 금전 상황이 열악했던 과거에도 이 정도까지 간부가 이탈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금전이 문제의 본질인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임 의원은 단기복무장려금을 예로 들었다. 단기복무장려금은 간부 지원유도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KIDA 연구 결과 간부 지원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큰 요소로 평가됐다. 그러나 단기복무장려금은 모든 간부가 받는 것이 아니고, 수령 대상자와 미대상자 간 의무 복무의 차이가 없다. 또한 수령자가 의무 복무만 채우고 전역했을 경우 반환받지도 않는다.
임 의원은 “단기복무장려금이 급한 불을 끄기 위한 매몰 비용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아니며, 일부에게만 지급하면서 복무 차이는 두지 않아 장려금 미수령자가 차별받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금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가 군에서 오래 근무할 간부 인력을 양성하는 것인데, 발등에 불 끄기에만 천문학적인 돈을 쓰고 초급 간부들에게 보여줄 미래에 대한 투자는 전무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임 의원은 “지금의 결과는 단순히 돈이 없어서라기보다 일선 간부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온 뇌관이 터지고 있는 것”이라며“일선에서 정말 원하는 게 무엇인지 사소한 부분까지 듣고, 정말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처우개선 대책을 발표해야 간부들이 국방부를 믿고 군에서 미래를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 붙였다.
22년 회계연도 불용사업내역 불용액축소방안
2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