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에너지자립고속도로 ...자체 신재생에너지 생산 0.76% ?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4-10-21 11:45:24 댓글 0
에너지자립고속도로 사업 목표 2025년에서 2030년으로 미뤄...23년 전기요금만 901억 지급.
▲국도로공사 전기세 납부액 현황(2017~2023년)
한국도로공사가 추진중인 에너지자립 고속도로 사업이 애초 목표한 것보다 5년이나 미뤄지는 등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도로공사는 2017년 4월 고속도로 관리·운영에 필요한 모든 전기를 고속도로와 부속시설을 활용해 2025년까지 100%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겠다는 ‘에너지자립 고속도로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2022년 기준 목표 대비 실제 발전량은 166.7GW로 목표량 289.5GW의 57.6%에 불과했다.

 한국도로공사는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자 2023년 12월 ‘2030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계획’을 새롭게 수립하면서 목표연도를 2030년으로 연기했다.


 당초 무리한 목표였는지, 윤석열 정부 들어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중을 2030년에 당초 30.1%에서 21%로 줄인 것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 알 수 없으나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앞장서야 한다는 대명제를 어기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한국도로공사가 발표한 2030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계획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계획량이 246GW이고, 실제 생산량이 240.6GW으로 목표대비 97.8%를 달성했다.

하지만 이 생산량은 대부분 도로공사가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 고속도로 유휴부지나 휴게소 주차장에 태양광을 설치하도록 임대해서 생산한 것이다.

실제 도로공사는 자산임대형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도로공사가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한 분야로 1.6GW로 생산량의 0.67%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2017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도로공사가 전기요금으로 납부한 금액이 5,241억원인데 반해, 자산임대 사업으로 얻은 사업수익은 총 183억에 불과하다.

 도로공사가 본격적으로 에너지자립 고속도로를 추진한 이후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 태양광을 설치한 곳은 45곳으로 209개 휴개소 중 21%에 불과하다.

 전기요금 감소와 공공기관의 선도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자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