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정부에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사고 철저한 원인 규명 촉구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5-02-18 21:30:45 댓글 0
“대형 화재사고 반복에도 수수방관 하는 정부의 모습, 참담함 금할 수 없어”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은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한 경찰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경실련이 정부에 “화재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하라”는 성명을 냈다.

 

경실련은 “이번 화재는 리조트 수영장 인근에 적재된 단열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샌드위치 판넬 등 단열재 관련 허술한 규제가 대형화재사고의 원인임을 수차례 지적한 바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벌어지는 대형 화재사고에도 수수방관 하는듯한 정부의 모습에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단열재인 샌드위치 판넬은 38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이천 물류창고 화재사고와 65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 충남 서천 수산물 특화시장 화재의 원인이 됐다.

 

경실련은 “이천 화재사고 이후 샌드위치 판넬에 대한 품질인정제가 도입되었으나 업체들의 민원으로 아내 규제가 대폭 완화됐다. 최근에도 국토부는 업계의 민원을 받아들여 샌드위치 판넬 시험방법과 판정기준 완화 방안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지시해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방화구획의 설비관통부 등 틈새를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내화채움구조’ 또한 대형 화재사고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스 유해성 테스트가 없기 때문에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고 말했다.

 

경실련은 “오늘과 같은 대형화재 사고는 조금만 관심을 기울인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소방당국은 이번 화재사고의 원인이 무엇인지 철저히 규명해야 하며, 정부는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부실한 화재안전기준과 부적합 자재로 인해 위협받는 일은 다시는 벌어져서는 안 된다. 정부가 국민의 생명보다는 불량자재 업계의 생존을 우려하여 관련 기준을 후퇴시킨다면 정부로서 자격을 저버린 것이나 다름없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실련은 “이번 참사로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부상자 분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고 덧 붙였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