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의원(산자위 간사, 목포시)이 코트라로부터 제출받은 “관세대응 119 종합상담실 운영 현황”에 따르면, 운영을 시작한 2월부터 9월까지 관세 정책 관련 애로상담은 총 7,936건에 달했다. 상담 접수 유형별로는 전화 상담이 4,169건, 온라인 상담이 2,965건, 카카오톡 채팅 상담이 802건으로 집계됐다.


단 2주 만에 3.6배 늘어난 셈이다. 같은 기간 관세확인 문의도 주당 100건 안팎에서 △459건 △678건으로 급등했다.
그러나 수천 건의 상담에도 불구하고 실제 코트라의 심층 상담으로 이어진 사례는 사업자등록번호가 있는 기업 710개사 중 15개(2.1%)에 불과했다. 관세대응 수출바우처의 경우는 사업자등록번호가 있는 기업 710개사 중 95개(13.4%)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익명 상담을 받은 기업에 지원이 이어진 경우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코트라는 “컨설팅은 홈페이지에서 따로 신청을 해야 하고, 별도 예산을 기반으로 외부 전문가를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상담 건수 및 기간에 제한이 있다”고 밝혔다.
한 직물 수입업체는 3월부터 8월까지 총 10회의 상담을 거쳤지만, 심층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로 이어진 것은 9월이 돼서야 가능했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는 둘 중 하나만 받을 수 있다면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은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심층 컨설팅과 수출바우처 모두 현금지원으로 분류되는 탓에 병행이 불가능한 것도 문제다. 양자택일인 상황에서 기업들은 상담보단 해외 마케팅, 인증, 물류비 등에 쓸 수 있는 수출바우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김원이 의원은 “수출 기업은 단지 상담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정부의 촘촘한 지원 체계를 기대하고 있다”며, “상담-지원 간 원스톱 연계체계 구축 및 바우처 접근성 확대를 마련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