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지난 5일(화) 환경에 관심이 많은 시민부터 대학생, 학자, 시민단체활동가, 공무원까지 400여 명을 한 자리에 모아 ‘환경분야 성과평가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민선 6기 2주년을 맞아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환경정책의 그간 성과를 평가하고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서 이번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토론회에는 서울시 환경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직접 참여하는 7개 위원회 협의체와 시의원, 시정계획자문단(환경‧녹지분과), 관련학회, 전문가, 언론인, 시민, 류경기 서울시 행정1부시장을 비롯한 관련 공무원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 환경정책을 대표하는 5개 분야 8대 정책에 대해 해당 분야 전문가가 사전 성과평가 내용을 토대로 발제를 하고, 퍼실리테이터 주도로 시민들과 함께 각 정책에 대한 집중 토론이 이어졌다.
논의되는 정책은 기후‧에너지 분야의 ‘원전하나줄이기’, ‘서울의 약속’, 대기환경 분야의 ‘초미세먼지 20% 줄이기’, 자원순환 분야의 ‘자원순환도시 조성 및 쾌적한 도시환경’, 생태‧공원 분야의 ‘숲과 정원의 도시 서울’, ‘한강 자연성 회복’, 수환경 분야의 ‘물순환 정책’, ‘청계천 복원’의 5개 분야 8개 정책이다.
각 정책의 성과평가 발제를 맡은 전문가들은 사전평가를 통해 8대 환경정책 모두가 환경분야의 진보적 의제로 평가받을 수 있다며, 시민참여에 의해 정책이 수립되고 실행된 것이야 말로 민선 6기 환경정책의 최대 성과라고 입을 모았다.
권경호 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센터장은 도시 전반으로 물흐름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빗물 침투에 초점이 맞춰진 기존의 ‘물순환정책’을 넘어 서울시의 여건에 적합한 물순환모델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거버넌스 측면에서 물순환시민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을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힌다고 밝혔다.
유재룡 기후환경본부장은 “오늘과 같은 토론회를 민관이 정책의 결정‧집행‧평가를 함께하는 협치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성공적인 환경분야 정책 실행으로 서울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지혜를 모아달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