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돌린 재계…떨고 있는 포스코회장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11-22 00:05:44 댓글 0
검찰, 회장 선임에 靑 개입 의혹 남아

검찰이 ‘최순실 게이트’에서 대기업에게 면죄부(?)를 줬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부금을 낸 대기업들이 뇌물이 아닌 강압에 의해 출연금을 냈다고 검찰은 판단해서다. 그러나 다른 대기업과 달리 포스코는 검찰의 수사에 대비해야할 처지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최순실 게이트’ 중간 수사 발표에서 53개 기업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제공한 774억 원을 ‘강압에 의한 출연금’으로 검찰이 판단했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9개 기업 총수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이 뇌물공여 혐의에 대해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포스코의 경우 사정이 다르다. 권오준 회장 선임에 청와대가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권 회장 선임에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등 청와대 인사가 깊이 관여했다는 의혹부터 권 회장 선임 과정에서부터 불공정 논란이 있었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오는 실정이다.


검찰 역시 이 부분을 명확하게 규명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요미수 등의 혐의로 조원동 전 수석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검찰은 조 전 수석을 상대로 청와대가 권 회장 선임 과정에 개입했는지에 대해 규명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향후 검찰 수사 결과에서 청와대가 권 회장 선임에 관여한 것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포스코는 다른 대기업과는 완전히 다른 처지에 놓일 수도 있다. 권 회장 임명에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했다면, 포스코가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기금은 강압이 아니라 ‘대가성’으로 성격이 바뀌기 때문이다. 조 전 수석에 대한 검찰수사 결과에 따라 포스코의 또 다른 뇌관이 터질수도 있다는 얘기다.


업계와 포스코 전·현직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권 회장의 선임 과정에서 청와대나 최순실씨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 회장 선임 과정에서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하는 것은 업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라며 “의외의 인물이었던 권 회장이 내정됐을 때, 크게 논란이 없었던 것은 다들 ‘청와대의 의중’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전직 포스코 핵심 관계자 역시 “당시 권오준 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들은 다 ‘들러리’였다”며 “청와대에서 이미 포스코 회장으로 권오준씨를 낙점한 상황에서 형식적으로 치러진 인사 과정이었다”고 밝히기도했다.


포스코는 2006년부터 사외이사들로 꾸려진 최고경영자(CEO) 후보추천위원회가 회장 후보를 결정하고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최종 선임하는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포스코와 후보추천위원회 등은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하고 있지만, 관련 의혹은 좀처럼 수그러 들지 않는 분위기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권 회장의 연임이 이미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의견이 흘러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권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히긴 어렵다고 본다”며 “업계에서는 권 회장의 연임은 사실상 물건너 간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라고 귀띔했다.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권 회장은 회사 규정에 따라 오는 12월까지 포스코 이사회에 연임 의사를 밝혀야 한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아직 수사 중인 상황이라, 검찰 조사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며 “권 회장 연임 여부에 대해서도 따로 언급할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