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대기업 3곳 중 1곳은 임금인상을 동결했다. 대신 임금인상 동결한 업체 2곳 중 1곳은 확보한 재원으로 신규채용·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 등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는 2016년 300인 이상 임금교섭 타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34.0%인 543곳이 임금인상을 자제했다고 8일 밝혔다.
300인 이상 조사 대상 기업 2529곳 중 임금미결정·미제출을 제외한 1599곳이 설문에 참여했다.
임금인상 자제 기업 543곳 중 55.4%인 301곳은 임금인상 자제로 확보한 재원을 격차해소에 활용했다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은 조사대상의 18.8%에 해당된다.
재원활용 분야를 보면 신규채용이 40.9%로 가장 많고,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16.0%), 협력업체 근로자 복지향상 또는 처우개선(7.6%), 상생협력기금·사내근로복지기금·공동근로복지기금 등 출연(5.5%), 협력업체 납품단가 인상 또는 경쟁력 향상 투자(5.3%) 등 순이다.
조사 결과 주목할 만한 점은 유노조 기업이 무노조에 비해 임금을 올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임금인상을 자제한 기업 가운데 유노조 비율(36.7%)이 무노조(31.7%)를 웃돌았다.
임금을 올리지 않고 격차해소 노력을 한 기업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유노조가 20.9%였고, 무노조(17.2%)는 이를 밑돌았다.
다만 전문가는 “이번 설문이 얼마나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의문이 나온다”며 “재원활용분야를 묻는 질문도 예정된 것까지 포함해 복수응답이 가능하도록 문항이 작성돼 있어 실제보다 다소 부풀려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