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저장고 ‘토양’, 기후 위기에 맞설 대응책 충분해…탄소 농법 중요성↑

김정희 기자 발행일 2023-09-04 06:23:41 댓글 0

[데일리환경=김정희 기자]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전 세계가 탄소 배출 ‘0’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두고 다양한 대책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탄소를 가둘 수 있는 나무, 울창한 숲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숲만큼이나 탄소 저장고로써 훌륭한 역할을 수행해 내고 있는 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흙이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흙은 지역이나 날씨 등에 따라 탄소 저장 능력이 다르지만 약 2조 5천억 톤의 탄소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대기 중 떠 있는 탄소량의 3배에 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여러 가지 이유로 흙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 됐다. 가장 큰 이유는 급격한 도시화다.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재로 토양의 표면을 덮고 그 위에 인간의 생활공간을 만들면서 흙이 점차 그 모습을 감추게 됐다. 

또한 도시화로 인해 좁아진 농경지에 많은 양의 식량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료와 농약, 산업 활동 과정에서 유출되는 화학물질, 쓰레기 매립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 등이 그나마 남아 있는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흙은 관리하기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날 수도 있지만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흙 안의 유기물이 늘어나면 탄소 저장량이 늘어나지만 잦은 경운은 탄소 배출을 증가하게 한다. 

이에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탄소 농업이다. 토양 속 탄소량을 높이기 위해서 탄소 농업은 필수적인 요소다. 무경운 농법, 토양 유실을 줄이고 잡초를 억제하는 녹비작물 심기 등이 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가 아열대 기후에 가깝게 변해 고온 다습한 성격이 강해졌다. 이런 조건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빨라져 탄소 축적량이 적을 수밖에 없어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탄소 농법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전문가들은 탄소 농법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탄소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되는 탄소 농법이라도 농민에게 경제적인 이득이 취해져야 하기에 이들 스스로가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와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탄소 배출 ‘0’이라는 목표 실행을 위해서 사라져 가는, 오염돼가는 흙을 회복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흙의 가치와 소중함을 되새기며 울창한 숲만큼이나 중요한 흙 역시 우리가 보호하고 가꿔나가야 할 소중한 존재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진=언플래쉬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