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토론회는 고령화시대 노인주거시설 확충을 모색하기 위해 여 · 야 의원이 함께 미국을 방문한 (1.31.~2.6.) 후속조치로써 ,‘ 한국형 은퇴자마을 ( 도시 ) 도입에 관한 연구 ’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단계적인 도입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
㈜ 장맥엔지니어링 측에서 진행했으며 , ‘ 한국형 은퇴자 마을 ( 도시 )’ 추진방식 및 체계에 대한 검토결과를 발표했다 .
공빠 TV 의 문성택 원장은 “ 고령화 사회 극복을 위한 노후 주거지 제안 ” 을 주제로 대한민국 노후 주거지 유형을 살펴보며 시니어 세대의 주거 대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 베이비부머의 귀촌과 인생 이모작 ” 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 마 교수는 농촌으로 이주한 베이비부머 , 농어촌지자체 , 중소기업으로 이루어진 3 자 결합 모델의 은퇴자 마을 ( 도시 ) 을 제안했다 .
김규철 국토교통부 주거복지정책관 , 이미홍 LH 지역균형연구실 실장 , 이태경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사무관이 토론자로 참여해 한국형 은퇴자마을 ( 도시 ) 도입과 관련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 .
허영 국회의원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최고위원이 참석했으며 , 관계부처 뿐 아니라 강원도 , 춘천시 , 인제군 , 충주시 , 부산광역시 , 서울특별시 등 전국 곳곳의 지자체에서도 실무자들이 참석해 의견을 청취했다 .
맹성규 의원은 “60 세가 넘어 은퇴한 이들이 레크리에이션 시설 , 체육 , 문화 , 의료 , 편의시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커뮤니티형 주거시설인 ‘ 은퇴자마을 ( 도시 )’ 에 함께 모여산다면 정서적인 고립감을 벗어나고 ,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며 “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들이 보다 국내 정서에 적합한 한국형 은퇴자마을 ( 도시 ) 도입 방안을 만들기 위한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 고 말했다 .
이어 맹 의원은 “ 한국형 은퇴자 마을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와 관계 부처의 많은 관심 및 지원이 이루어져한다 ” 고 강조하며 “ 토론회를 시작으로 특별법 제정을 통해 한국형 은퇴자마을 ( 도시 )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 ” 고 강조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