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환경부 측은 추석 연휴 동안 쓰레기가 늘어나고 쓰레기를 무단투기하거나 과대포장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추석 연휴 생활폐기물 관리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내용은 지난 11일부터 오는 2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추석 연휴에는 고속도로 휴게소를 비롯해 공항, 기차역 등에서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이 성행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한국환경공단, 국립공원공단,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공항공사 등은 환경부와 손잡고 다양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폐기물 특별 수거 체계를 운영한다. 전국 지자체에서는 처리상황반을 운영하고 쓰레기 수거 일을 미리 고지할 예정이다. 또 단독주택 주변 등에는 분리수거함을 비롯한 음식물 쓰레기 전용 수거 용기 등을 추가로 비치한다.
더불어 기동청소반이 주택 주위에 버려진 쓰레기, 재활용 폐기물 등이 신속하게 수거돼 쾌적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재활용품 분리배출을 강화하고, 불법투기 집중 단속 및 과대포장을 점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쾌적한 명절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쓰레기를 관리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재활용 쓰레기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렸다. 종이 상자는 상자에 붙어 있는 테이프, 택배 스티커 등을 제거한 후 접어서 종이로 배출해야 한다. 스티로폼 상자 역시 테이프와 택배 스티커 등을 제거하고 흩날리지 않도록 하고 재활용품으로 배출해야 한다.
플라스틱 포장 용기는 내용물을 비워내고 물로 헹군 후 재활용품으로 배출해야 한다. 단, 지역에 따라 종량제로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 비닐봉지와 비닐류는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하게 해서 재활용품으로 배출해야 한다. 양파망은 비닐류로 배출하고 과일 포장재는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한다.
식용유는 하수로 배출하게 되면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식용유 전용 수거함에 배출하거나 가까운 주민센터 등에 문의해서 배출해야 한다. 보자기는 재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배출해야 한다.
부직포 장바구니는 재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배출한다. 물로 된 아이스팩은 가위로 잘라 물은 하수구에 배출하고 케이스는 비닐류로 배출해야 한다. 고흡수성수지가 들어있는 젤 형태의 아이스팩은 자르지 않고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배출한다.
사진=픽사베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