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환경보건취약계층 실내환경 개선사업은 어린이 환경성질환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환경보건 전문인력이 지원 대상 가구를 방문하여 곰팡이, 진드기 및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등 환경유해인자를 포함한 실내환경을 측정 및 진단하고, 벽지‧장판 교체 등 개선 공사를 수행한다.
환경부는 실내환경 측정 및 진단 대상으로 13세 미만 기초생활수급자 어린이 1,500명을 모집할 예정이며 ,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이 시급한 250가구를 선정하여 실내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협약에 참여한 사회공헌기업은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친환경자재 및 용품을 무상으로 후원한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후원물품에 대한 소득공제 및 홍보 등을 지원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실내환경을 측정 및 진단하고 후원물품을 활용한 개선 공사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환경유해인자 저감률 분석 및 만족도 조사 등 사후관리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이번 협약으로 정부의 정책에 기업의 지원이 더해져 어린이가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내외적으로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원에 나선 기업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