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표는 쌓이고, 발행은 줄고… ‘거꾸로 관리’로 재고 2천만 장 방치”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5-10-28 07:05:11 댓글 0
고객의 94%가 현금·카드 결제해도 우표 재고량은 연 평균 약 2,800만 장 유지


스마트폰·이메일 등 디지털 통신수단의 보편화로 우표 사용이 급감하고 있음에도, 우정사업본부가 수천만 장의 재고를 쌓아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북구을)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일반 우표의 평균 누적재고량이 약 2,800만 장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우표 판매량은 2020년 2,041만 장에서 2024년 1,143만 장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며, 발행량 또한 2020년 2,777만 장에서 2024년 1,064만 장으로 절반 이상 줄어 연평균 약 21% 감소했다.  

2022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4년간 우편물 발송시 고객들의 결제 수단도, 카드·현금 등이 평균 약 7,800만 건(94% 이상)인 반면 우표 사용량은 430만 건(약 5%)에 불과했다.  


우표에 대한 수요 자체가 줄고 있는데 우정사업본부가 누적 재고량을 연 2,000만 장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한 의원의 지적이다. 특히 그 중 1,900만 장(95%)은 이미 발행이 중단된 ‘비현행 우표’인 것으로 확인됐다.
 
우정사업본부는 “수요가 있다”는 이유로 비현행 우표를 폐기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2년간(2023년~2024년) 비현행 우표에 대한 출급요청은 전체 우표 중 6% 수준에 그쳤다.  
  
한민수 의원은 “이제 우표는 통신 수단보다 문화적 상징의 성격이 강해졌음에도, 우정사업본부가 시대 변화를 읽지 못하고 재고만 쌓아두는 것은 행정 낭비”라며, “우표는 화폐와 동일한 가치가 있는 만큼 비현행 우표의 활용·소진 방안을 마련하고 수요와 누적재고량을 모두 고려한 운영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