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초미세먼지 감축안 공모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5-08-11 22:11:02 댓글 0
지역별·배출원별 고려해 특화사업 계획

서울시는 교통 부문 투자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생활 주변 오염원에 대한 관리는 미흡하다고 판단,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자치구 특화사업을 공모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매년 평균 1㎥당 24∼25㎍ 으로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안전 기준치(10㎍/㎥)를 한참 웃돌고 있다.



서울 초미세먼지는 절반 이상인 52%가 교통분야에서 발생하지만, 난방·발전(27%), 비산먼지(12%), 생물성 연소(7%) 등 영향도 적지 않다.



작년을 기준으로 서남·동남권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25㎍/㎥, 서북·동북권은 23㎍/㎥, 도심권은 22㎍/㎥로 지역별 배출원의 오염물질에 차이가 있어 농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 정책수단을 연구·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차이로는, 마포구에는 생물성 연소를 유발하는 숯불갈비 등 직화구이 음식점이 많은 반면, 성동구 성수동에는 자동차 경정비 업체가 많아 페인트 도장 등에서 유발되는 오염이 있다.


또 강서구에는 외곽에 건설 폐기물 집하장이 모여 있어 비산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편이며, 중구에는 인쇄업체에서 나오는 생활먼지가 있다. 이외에도 강서 마곡지구의 공사장에서 나오는 먼지, 종로구의 귀금속 상가에서 나오는 금속 세공 먼지 등이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높였다.



이러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서울시는 적은 예산 투입으로도 대기 개선 효과가 큰 사업을 중점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지역에서 주민과 협력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해 서울시에 제안하면 시가 올해 안에 3개 내외의 사업을 선정, 사업당 1억원을 지원한다.



시는 민관협력의 성격을 최대한 살린 사업, 지역별 소규모 특화단지 조성으로 대기 질의 개선 홍보 효과가 큰 사업,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장기 사업 위주로 선정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 대기관리과 관계자는 “지역 특성에 맞는 대기오염 물질 저감사업을 공모하여 시민 체감 만족도를 향상할 것이다”며 “2020년까지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를 지금의 80% 수준인 20㎍/㎥까지 줄이겠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