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세월 뛰어 다시 화려한 꽃으로...

최성애 기자 발행일 2015-11-15 15:56:59 댓글 0
손문자 화백 전시전 ‘서바이벌’ 갤러리 미술세계에서 피카소, 마티스 떠 올리는 작품 세계 돋보여

손문자 화백(73)이 10여년의 세월을 훌쩍 뛰어 넘어 다시 관객을 맞는다.


오는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갤러리 미술세계에서 열리는 초대전 ‘서바이벌’을 통해서다.


손 화백은 1966년 서울대 미대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대까지 디자인과 도자, 서예 등 다양한 예술 분야를 섭렵했다.


이후 회화에 집중하기 시작해 1994년 프랑스 파리 피압 장모네 화랑에서 개인전을 여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손 화백은 지난 2000년 이후 꽃을 작품의 주된 소재를 삼아 왔다.


꽃을 중심으로 물고기, 동물, 정물 등이 조화롭게 구성된 화면은 작가의 깊은 영성을 담고 있다는 화단 안팎의 평가를 받았다.


2004년까지 이 같은 분위기의 작품을 줄곧 내고는 10년 넘는 세월 동안 긴 침묵을 지켜 왔었다.


그러던 그가 다시 꽃과 함께 돌아 온 것이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가의 그림 속에는 흐드러지게 핀 꽃과 나뭇잎 사이로 물고기가 유영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뭘까.


손 화백은 “꽃은 세상이요, 물고기는 인간은 인가”이라는 짧은 주석(註釋)을 넌저시 단다. 그럼에도 아직 모호하지 않는가.


여기서 작가의 종교관을 대입해 보면 무릎이 저절로 탁 처진다,


크리스트교에 뿌리를 둔 손 화백의 사상과 신앙심이 창작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꽃과 물고기가 어우러진 이상적인 화면은 천상의 세계다. 일상에서 끊임없이 좋은 것을 선택하고 노력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손 화백의 이러한 삶의 태도는 생애의 말년에도 예술가로서의 끈을 놓지 않았던 피카소와 마티스를 떠올리게 한다.


한 가지 더.


‘꽃과 여인의 화가’ 고(故) 천경자 화백의 빈 자리가 더욱 허전하게 느껴지는 상황에서 손문자 화백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지만 당당한 기대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