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건설의 안전불감증과 부도덕행위로 기업 이미지가 나락으로 떨어졌다.
먼저 포스코건설은 올해 초 시공 설계보상비를 받아내기 위한 계약서 작성 꼼수를 벌여 법원으로부터 철퇴를 맞은 바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2011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광주·전남 혁신도시 수질복원센터 건립공사 입찰에서 코오롱글로벌이 낙찰되도록 들러리를 섰다. 이후 발주처 규정에 따라 LH로부터 탈락회사에 책정된 설계보상비 3억 2000만원을 받은 것이다.
이와같은 포스코건설의 꼼수 충격이 가시기 전인 지난 1일 14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도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 폭발사고'의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이 공사 당시, 현장 안전 문건을 사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 남양주경찰서 수사본부는 포스코건설이 공사 기간동안 매일 기입해야 하는 '작업환경 측정'문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고, 이를 은폐하기 위해 사고 발생 이후 소급하여 조작 기록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작업환경 측정이란 작업 현장의 산소·일산화탄소·황화수소·소음 등의 수치를 측량하는 것으로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 반드시 기록해야한다.
해당 측정과 기록을 통해 공사 진행과정을 검증할 수 있고, 공사장 인근 주민과 행인의 안전은 물론 환경점검에도 중요한 척도가 된다.
경찰은 포스코건설의 문서 조작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적용을 피하기 위한 증거인멸이나 사문서 위조 행사에 해당하는 지도 검토 중이다.
건축사 출신인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내 건설 대기업들의 품질 안전관리가 소홀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한 "안전 대신 돈벌이에만 치중한 대형 건설사들의 시공 관행이 사고를 부른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계약안전문건 조작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포스코건설의 부도덕성 파문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건설의 잇단 부도덕 행위로 그간 쌓아온 기업 이미지가 손상되었다는 업계 지적이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서위조 건은 악질 기업으로 4명이 숨지는 사고까지 발생한 상황에 포스코건설 대표자는 퇴임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올들어 중대 재해 다수 발생한 포스코건설은 안전사고를 줄이는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