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량 고객 선점 위해”…김재수 장관 이어 형평성 논란 일 듯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황제 대출 사태로 홍역을 치른 농협은행이 공무원들을 상대로 연 1%대의 저금리 대출 상품을 무더기로 판매한 것으로 드러나 형평성 논란이 일 전망이다.
1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연 1%대의 신용대출 금리를 받은 100명 가운데 90명은 공무원, 4명은 공기업 인사였다. 이들의 금리는 연 1.04~1.94%로 평균은 연 1.84%다.
특히 상위 100위 저리대출자들의 취급점 현황을 보면 정부과천청사지점이 6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대개 1~2년 안에 임용된 신규 사무관으로 농협은 이들을 상대로 저리로 단체 대출을 해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과천청사는 신규 사무관들이 연수를 받는 곳이다.
2014년에 임용된 한 사무관은 “농협은행이 신규 사무관을 상대로 시중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단체 대출을 해준 건 오래된 관행으로 기억한다”며 “통상 1년간 우대 혜택을 주고 이후에는 금리를 올리는 식으로 저금리 대출을 해줬다”고 밝혔다.
농협 측은 5급 임용 사무관에 단체대출을 해줬다고 인정하면서도 우량 고객 선점을 위한 영업 전략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금리 결정기준의 핵심은 소득과 연체기록 등의 신용도다. 농협은행 신용대출자 중 상위 100위(0.009% 이내) 저리대출자의 90%가 공무원이라는 점에서 형평성 시비가 불거질 수 있는 대목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