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반가들의 영원한 꿈이자 덫?... 도전과 희생을 떠안은 에베레스트의 양면성

안상석 기자 발행일 2022-10-21 19:37:00 댓글 0

[데일리환경=이동규 기자]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벅차오르는 에베레스트. 접해볼 수 없을 정도로 멀게 느껴지지만, 그 위엄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등산에 노련한 등산 전문가들에게 끝내 이뤄야만 하는 코스처럼 여겨지지만, 그 여정은 쉽지 않은 것으로 익히 알려져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측은 최근 에베레스트에서 노련한 등반가들조차 목숨을 잃게 된 이유를 짚으며 에베레스트 대참사에 관한 이야기를 전했다.

원정대를 무사히 복귀시키는 것은 에베레스트를 오른 스콧 피셔와 롭 홀 대장의 책임이었다. 하지만 스콧은 등산을 하는 동안 극심한 체력 소모를 느꼈다. 산을 제대로 오르지 못할 정도에다가 숨 쉬기도 힘들어하는 것으로 미루어봤을 때 스콧은 저산소증보다 더욱 심각한 상태였을지도 모른다. HACE라고도 불리는 고소뇌부종으로 추측하기도 하는 것.

고소뇌부종은 해발 5,000m 이상에서 머무르는 백 명, 천 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뇌에 체액이 모이게 되며 점차 부풀어 오르고 신경학적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이 시작되면 어떻게 될까? 몸은 스스로를 제어하지 못하고 움직임 또한 불균형해진다. 증상이 더욱 악화되면 의식을 잃게 되고 치명적인 영향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전문가는 말했다.

특히 스콧 피셔는 보온복 지퍼가 열린 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극심한 추위가 둘러싸고 있는 에베레스트에서 보온복 지퍼를 연 채로 발견된 것은 극히 물음표가 생기는 부분이다. 롭상 셰르파의 보고에 따르면 비이성적인 행동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비를 벗어 버리고 산등성에서 뛰어내리고 싶다고 말을 한 것.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르기 위한 노련한 등반가에게서 볼 수 있는 행동과 평범한 말은 아니란 것이다. 이에 일부는 스콧 피셔가 고소뇌부종의 증상을 앓았다고 추측하고 있다. 더불어 스콧 피셔는 상황이 심각해지자 헬기 구조를 요청했다. 이 부분은 어떤 것을 의미할까? 사실상 베이스캠프보다 높은 지점은 공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헬기가 착륙할 수 없고, 그도 이를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일부는 노련한 등반가가 헬기 구조 요청한 것에 놀라워했고, 상태가 얼마나 좋지 않았는지를 짐작케 한다고 전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무엇보다 당시 원정대 내에서 가장 체력이 강인했던 등반가조차 공기 중 산소 부족에 영향을 받았다. 전통 방식을 추구하는 러시아인 등반가 아나톨리 부크레예프. 그는 비상시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의 인물이었다. 산소통도 없이 등반에 나섰을 정도였던 것.

산소통이 함께한다면 체온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뇌에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어 조금 더 나은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대원들은 가이드에게 힘과 경험, 의식 등의 수준 차이를 기대한다. 즉, 자신보다 능력이 뛰어나다고 믿어야 그를 믿고 의지하고 따를 수 있는 것. 하지만 대원들은 챙기는 산소통을 가이드가 챙기지 않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안전을 보장해줄 수 없다고 누군가는 말을 한다.
부크레예프는 산소 부족을 원인으로 정상에 그리 오래 머물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측은 하산할 때 부크레예프의 도움이 있었다면 아마 결과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폭풍이 닥쳤을 때 부크레예프가 사람들을 구했던 것이다.


아나톨리 부크레예프는 폭풍이 불자 직접 폭풍 속으로 몸을 던져 위험천만한 상황에서 대원들의 생명을 구했다. 이를 목격한 이는 그야말로 초인적인 힘이었다고 감탄했다. 고산 의학 전문가 제러미 원저 박사는 96년도 참사가 주는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가이드와 셰르파도 산에 오를 때 반드시 산소통을 착용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는 에베레스트 가이드는 의무적으로 산소통을 착용해야 한다. 이어 내셔널지오그래픽 측은 과거로 돌아가 참사의 경위를 살펴봤다. 1996년 5월 6일. 참사 19시간 전, 두 원정대가 제4캠프에서 발걸음을 뗐다. 원정대원 33명이 정상으로 향했고 참사 7시간 전에는 원정대가 남봉에 도착했다.

하지만 계획과 다른 일이 펼쳐졌다. 로프가 고정돼 있지 않고 방목 현상이 발생한 것. 그리고 참사 6시간 전에는 첫 번째 대원이 정상에 올랐으며 복귀 시간이 한 시간이 지난 시점에 하산한다. 그리고 참사 3시간 전, 스콧 피셔 대장이 마지막으로 정상에 도착했고 참사 2시간 전, 스콧 피셔의 몸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진다. 롭 홀은 의식을 잃은 대원과 씨름했고 참사 몇 초 전, 대원 11명이 제4캠프를 코앞에 두고 거친 폭풍에 휘말렸다.

몇 명은 이미 생존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 어느 계획에나 그렇듯 이날 역시 여러 실수를 비롯한 계산 착오가 발생했지만, 만일 하산하는 과정에서 폭풍이 불지 않았다면 더 많은 대원이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다. 돌풍의 시속은 무려 130km에 달했고, 기온은 -40까지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내셔널지오그래픽 측은 달라진 기상 상태에 주목했다. 이 부분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이 또 있었던 것. 고산 전문가는 당시 폭풍으로 인해 대기압이 낮아졌고 그 결과 대기 중 산소량 역시 감소했다고 말했다. 계산에 따르면 폭풍이 몰아치면서 대기 중 산소량이 최대 14% 감소했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 시점에 대원들의 산소통은 이미 비어 있었다. 이 점이 결정적으로 작용해 성패의 고비를 넘기지 못한 것이다.

산등성에서 24시간을 보낸 원정대는 이미 산소 부족이었고, 대기 중 산소 감소량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은 것이다. 즉, 에베레스트 등반이 이토록 위험한 이유는 고비 때문이다. 등정의 성패를 좌우하는 건 세심한 계획만이 아니다. 전문가는 에베레스트를 등반할 땐 완벽한 날씨가 이어져야 하고 모든 조건이 나에게 유리해야 한다고 전한다. 풍속이 낮고 기온은 다뜻해야 하고 하늘도 맑아야 하는 것. 

한편 현재는 기상 예측이 비교적 정확하고 험난한 구간은 사전에 로프를 고정, 중요한 결정은 고지대가 아닌 베이스캠프에서 내리며 가이드는 반드시 산소통을 착용해야 한다. 그럼에도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인간은 자연을 이길 수 없고, 모든 상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