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올해를 산재 근절 원년으로 삼겠다’, ‘산재 공화국을 뜯어고치겠다’고 누차 강조했지만, 공공기관인 우정사업본부가 정반대 행보를 하고 있다”며 “집배원들은 기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우정사업본부 전체 재해 2,502건 중 집배원 관련 산재는 2,088건으로 83.4%를 차지했다.
특히 집배원 재해율은 2024년 기준 1.87%로, 산업 평균(0.67%)의 약 3배에 달한다. 2022년 이후 현재까지 집배업무 중 사망자도 5명에 이르며, 산재 인정 건수로만 연평균 700건, 하루 두 건꼴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쿠팡도 폐지한 시스템”… 2020년 폐지했던 ‘업무강도 측정’, 4년 만에 부활
그럼에도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9월 1일부터 노동계 반발 속에 ‘집배업무강도 진단시스템’을 다시 시행했다.
이 시스템은 업무를 86개 세부 단위로 쪼개어 ‘소포당 7.3초’, ‘우편물당 5.5초’처럼 표준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개인 업무량과 부하량을 측정한다. 표준시간을 충족하지 못하면 업무 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간주하며, 포상·업무재배치에도 영향을 준다.
이 의원은 “쿠팡도 이와 유사한 UPH(시간당 생산량) 시스템을 운영하다 과로사 문제가 이어지자 폐지했는데, 정부 조직인 우정사업본부가 이를 다시 부활시켰다는 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업무강도 시스템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총리는 “우정사업본부의 집배원들 노동문제에 굉장히 관심을 갖고 노동요건 개선 사항들을 도출하고 있다”며, “(우정사업본부의 관리·감독 부처로서) 집배 업무강도 진단시스템은 개선이 필요한지, 아예 철폐가 필요한지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