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관, 누적부채 205조원 달하는 한전...특단대책 KDN 매각은 정권눈치보기용였나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5-10-20 07:32:52 댓글 0
특단 자구책으로 추진했던 KDN 매각, 이사회 보류이후... 이번 중장기 재무계획에서 제외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재관 의원(사진)이 윤석열 정권에서 특단 자구책으로 KDN 매각은 정권 눈치보기용과
마찬가지였다라며 한전의 누적부채를 국민에게 전가시켜려는 흔적도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전력공사의 자산은 139.47조 원이며, 부채는 120조로 부채비율이 619%에 달하며, 누적부채는 205.44조 원에 육박하고 있다.

 이재관 의원실이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은 <2025~2029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지출재구조화 1.7조 원, 경영효율화 3.2조 원, 자산매각 7,689억 원, 수익확대 1.9조 원, 자본확충 7조원 등 5년간 총 14.65조 원의 자구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익확대 부분에서 국민들에게 전기요금을 전가하는 내용인 자동이체 요금할인 일몰, IT청구 요금할인 일몰, 도착장 할인특례 일몰 등 절반에 가까운 8,751억 원이 포함된 사실도 확인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당시 한전은 특단의 자구대책으로 강하게 추진했던 KDN 지분 20% 매각계획은 이번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는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에도 1,300억 원에 불과한 매각 대금이 천문학적인 부채 해결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과 함께, 전력 데이터 독점 기업인 KDN의 지분을 민간에 넘기는 것은 사실상의 ‘전력 민영화’ 수순이라는 전력노조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다.

 

결국 지난해 4월 한전 이사회에서 해당 안건이 보류된 이후, 1년 넘게 아무런 진척 없이 이번 중장기 계획에서 슬그머니 자취를 감춘 것이다.

 

이재관 의원은 “윤석열 정부 당시 특단 자구대책으로 KDN 지분 20% 매각을 포함 한 바 있다.”라며 “그러나 중장기 재무계획상 KDN 지분매각은 없어 당시 정권 눈치를 보던 것 아닌지 의심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한전의 누적된 부채를 국민에게 전가하지 말고, 재무구조 개선을 통해 부채 부담을 해소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