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자녀가 있는 직장인 1,202명을 대상으로 '자녀 1인당 월 평균 교육비'와 ‘본인은 스스로 생각하기에 에듀푸어인가?’라는 질문을 한 결과 10명중 4명이 자신은 에듀푸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답변은 자녀의 연령대와 비례해 높았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직장인(766명) 중 스스로를 에듀푸어라 답한 직장인은 43.6%였고,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직장인(444명)중에는 51.6%,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직장인(235명) 중에는 59.6%가 스스로를 에듀푸어라 답했다.자녀 1명의 월 평균 교육비는 미취학 자녀의 경우 월 평균 34만8천원으로 집계됐다. 초등학생 자녀는 월 평균 41만5천원, 중고등학생 자녀는 월 평균 55만1천원의 교육비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자녀가 있는 직장인의 과반수이상은 자녀가 미취학 아동일 때부터 학원이나 학습지 등의 사교육을 시킨다고 답했다. 실제 ‘사교육을 처음 시작한 자녀의 나이’를 조사한 결과 ‘5세부터(21.1%)’ 시작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7세(15.6%)’부터 시작했다는 응답자가 다음으로 많았다. 10명중 1명에 이르는 10.5%는 ‘2세부터’ 시작했다고 답하기도 했다.일찍부터 자녀의 사교육을 시작하는 이유는 자녀의 잠재 능력을 개발해주고, 선행학습을 통해 학업성적을 높이고자 함이라고 입을 모았다.조사결과 ‘자녀의 능력 개발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응답률 52.7%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어 ‘선행학습을 통해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26.8%)’, ‘자녀의 특기를 만들어주기 위해(23.1%)’, ‘어릴 때 뒤처지면 평생 뒤쳐질 것 같아서(19.7%)’ 순으로 높았다.미취학 자녀의 사교육을 시키는 직장인은 57.3%에 달했다. 사교육 과목은 ‘국어(한글)’이 응답률 58.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영어(44.6%), 수학(수과학_44.6%), 미술(23.9%), 체육(22.6%), 음악(21.4%) 순으로 많았다.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직장인 중에는 대부분인 95.5%가 ‘사교육을 시키고 있다’고 답했다.사교육 과목 중에는 ‘영어’가 응답률 69.3%로 가장 높았고, ‘수학’도 52.6%로 과반수이상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국어/논술(44.3%), 체육(34.2%), 음악(30.9%) 순으로 조사됐다.중학생 자녀가 있는 직장인 중에도 대부분인 94.9%가 ‘사교육을 시키고 있다’고 답했는데, 사교육 과목 중에는 ‘수학(43.4%)’과 ‘영어(33.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