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이 금융계열사인 삼성증권 지분을 매입한다고 공시했다. 이는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18일 삼성생명은 이사회를 열고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증권 지분(8.02%)를 2343억원에 매입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증권 지분은 종전 11.14%에서 19.16%로 늘어났다.삼성생명은 “삼성증권 지분 인수는 시너지 창출과 회사가치 제고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자회사인 삼성자산운용, 삼성SRA자산운용과의 협업으로 시너지를 내고, 삼성증권의 종합자산관리 역량을 활용해 투자수익률 제고, 부유층 마케팅 경쟁력 강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삼성생명과 삼성증권 등 삼성 금융계열사는 이날 금융지주사 설립 추진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주가가 각각 5.3%, 3.52%씩 올랐다.시장에서는 이번 결정으로 삼성그룹이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하는 금융지주회사 전환에 한 발 가까이 다가간 것으로 보고 있으나 삼성그룹은 지주회사 전환과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삼성생명이 금융지주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법, 공정거래법 등이 개정돼야 하기 때문이다.현행법상 금융지주회사가 되려면 자회사 지분율을 30% 이상 확보해야 한다. 삼성생명 역시 금융지주사가 되려면, 금융 자회사의 지분을 30% 이상(비상장사는 50% 이상)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금융지주회사법(43조의2)을 충족해야 한다.앞서 삼성생명은 지난 1월 삼성카드 지분을 전량 사들여 보유지분을 71.9%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삼성화재도 지분 15%를 보유해 최대주주다. 향후 삼성화재와 삼성증권이 보유한 자사주가 추가로 삼성생명에 이전된다면 금융지주회사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향후 삼성화재(16%)와 삼성증권(10.9%)이 보유한 자사주가 추가로 삼성생명에 이전된다면 삼성생명은 금융지주회사의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일각에서는 이번 인수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의 일환으로 해석했다.현재 삼성그룹은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전자·물산 지주회사와 금융지주회사, 양대 구도로 개편 준비 중이다. 삼성물산의 최대주주는 이재용 부회장이다.그리고 삼성물산은 삼성생명의 2대 주주다. 즉,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할 경우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을 통해 금융계열사 전체를 지배할 수 있게 된다.다만 삼성생명이 금융지주사로 전환하려면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비금융계열사들의 지분율을 5% 밑으로 떨어뜨려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현재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 7.7%를 가지고 있다. 호텔신라(8.0%)와 에스원(6.0%)의 지분도 5% 넘게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처분해야 하지만 5% 이내로 줄이는 데는 적지 않은 시간과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