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의 폐해, 꿀벌 군집 붕괴 현상(CCD)가 말하는 것 

안상석 기자 발행일 2021-09-02 15:43:48 댓글 0

각종 요리부터 해장 재료로도 꼽히는 달콤한 꿀. 우리들의 식탁을 풍성하게 만들어주지만, 과거부터 곳곳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꿀벌 집단 폐사 현상이 일어나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리고 일각에서는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의 원인으로 환경오염을 꼽고 있다. 과거 아이슈타인은 ‘만약 꿀벌이 지구상에서 사라진다면 인류는 4년 이상 살 수 없을 것이다’라는 말을 남긴 바 있을 정도로 꿀벌과 환경은 밀접한 요소가 있다는 의미이다.

꽃이 피면 꿀을 따오고, 그 꿀을 따오며 식물들의 수분 매개 역할을 한 꿀벌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식탁을 책임졌다. 지난 2억 년 동안 이로움을 주던 꿀벌은 점점 위기를 맞고 있다. 

현재 전 세계 농작물의 3분의 1 정도가 꿀벌 등의 화분 매개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가운데 화분매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먹거리 문제를 비롯해 식물의 다양성과 유전자 교류의 붕괴가 진행된다고 알려졌다. 

벌집 훼손 사태로 인해 벌꿀을 주원료로 하는 아이스크림 업계 등이 큰 타격을 입게 된 것.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이스크림 제조업은 시중에 공급하고 있는 약 60여가지의 아이스크림 맛 가운데 무려 40%가 꿀벌을 매개로 한 식물 수분작용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밝힌 바 있을 정도다.

이에 오래 전부터 지구촌 곳곳에서는 꿀벌이 줄어드는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한 운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06년 11월, 미국 플로리다 주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꿀벌 군집 붕괴 현상(CCD)’. 2007년 여름까지 북반구 꿀벌의 25%, 심한 곳은 70%까지 실종되며 손도 쓸 틈 없이 미국 전역으로 퍼진 바 있다.

이 증상(CCD)은 희소성이 강한 꿀벌이 여왕 벌, 아기 벌을 버리고 단체로 사라진 것이다. 즉, 일벌들이 돌아오지 않아 남은 여왕벌과 기타 미성숙 벌들까지 하나의 벌집이 몰살당하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을 좀처럼 알 수 없는 이 현상은 국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대를 이어나갈 아기 벌이 태어나지 않고, 6주 밖에 되지 않는 일 벌이 수명을 다하게 되면 곧 벌은 완전하게 멸종될 것이다. 

특히 CCD라는 용어가 생긴 지는 오래 되지 않았지만, 실제로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은 약 1800년 전인 것 보고된 것으로 알려져 놀라움을 자아낸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농약, 질병, 병충을 요인으로 시대에 따라 특정 문제로 부각된다고 보고 있다.

원인도 이유도 알 수 없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자연은 비단 우리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